35page

국제분쟁 결정은 합리적 선택인가?:국제분쟁 결정에 대한 정보의 영향 33 과관계를 규명하고 통계적 방법으로 경험적 검정을 시도하고자한다. 이론적 발견은 현실세계의 역사적 사건들 속에서 경험적 타당성이 입증되어야할 필요가 있다.5) 따라서 이 글에서는 검정 가능한 가설을 도출하고 이를 역사적 분쟁 사례들 속에서 통계적으로 경험적 타당 성을 검정하고자 한다. Ⅱ. 상대국가에 대한 분쟁 결심과 활용 가능한 정보 수준과의 관계 국가들은 국제분쟁 돌입을 앞두고, 분쟁 결과 예측을 위해 공개 및 비공개의 두 종류의 정 보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공개 정보는 공식적으로 발표된 군사력 규모나 국내정치상황 등 분쟁 당사자들이 사전에 공유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공개 정보를 바탕으로 한 분쟁의 상대적인 승리 확률은 분쟁당사국 모두가 공유하게 되는 정보가 된다. 반면, 비공개 정보는 분쟁당사국들이 이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기만적으로 활용하려는 의도를 갖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분쟁 전에 공유할 수 없다. 바로 이러한 비공개 정보의 특성 때문에 분쟁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분쟁 결과에 대한 기대는 분쟁당사국들이 공유하 는 승리 확률(공개 정보)과 불확실성(비공개 정보)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국제정치학에서 세력분포 접근 이론들(세력전이 이론 및 세력균형 이론)은 공개 정보에 근거한 국력 차이가 분쟁 및 전쟁 발발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해왔다.6) 한편 게임이론에서는 비공개 정보의 존재로부터 기인되는 불확실성과 비공개 정보를 기만적으로 활용하려는 의도 때문에 합리적 의사결정자들간의 전쟁이 발발한다고 주장해왔다.7) 이러한 기존연구에서 분 5) Stephen M. Walt, "Rigor or Rigor Mortis? Rational Choice and Security Studies." International Security, Vol.23 No.4 (1999) pp.12-13; J. David. Singer, "The Etiology of Interstate War: A Natural History Approach." John A. Vasquez. ed., What Do We Know about War? (Lanham: Rowman & Littlefield, 2000), pp.5-7. 6) Hans Morgenthau, Politics among Nations. 4th ed. (New York: Alfred Knopf, 1967), pp. 5-6; A.F.K. Organski and Jacek Kugler, The War Ledge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pp. 19-22; Jacek Kugler and Douglas Lemke, "The Power Transition Program: Assess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Advances," Manus I. Midlarsky. ed., Handbook of War Studies II.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Press, 2000), pp.130-139. 7) James D. Morrow, "Capabilities, Uncertainty, and Resolve: A Limited Information Model of Crisis Bargaining."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33 No.4 (1989) pp.944-946; R. Harrison Wagner, "Peace, War, and the Balance of Power,"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88 No.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