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page

150 국방연구 제51권 제2호 포병 연대도 10-15로만 표시를 하였다.45) 이러한 부대구조는 해군과의 합동 작전시 특수임 무 부대(Task Force) 편성과 상륙전시 부대 지휘통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그림 1> 1945년도의 미국 해병대 상륙군의 부대 편성 상 륙 군 해 병 대 보 병 상 륙 트 랙 터 단 해 병 사 단 ( 증 강 ) 해 병 대 포 병 해 병 대 본 부 및근 무 지 원 대 대 통 신 대 대 의 무 대 대 수 송 대 대 공 병 대 대 헌 병 대 대 상 륙 트 랙 터 대 대 상 륙 장 갑트 랙 터 대 대 근 무 연 대 해 군 C O N S T 대 대 M I S C 파 견 부 대 야 전 포 병 단 1 5 5 M 곡 사 포 대 대 1 5 5 M 포 대 대 반 공 포 단 반 공 포 대 대 * 출처: Gordon L. Rottman, U.S. Marine Corps World War II Order of Battle (Westport : Greenwood Press, 2002), p. 102.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 해병대는 아시아ㆍ태평양 전쟁이 종전이 되어가던 1945 년도에는 지금 현재의 부대 구조와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1944년 말까지, 미국 해병대는 복합적인 상륙돌격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소요되는 거의 모든 제 작전 요소들을 포함하는 부대구조로 발전해 나갔다. 이러한 부대 편성은 종종 작전환경이나 새로운 임무 수행이후 도출된 교훈에 의하여 유동적으로 변화를 하였으나, 이 시기에 형성된 기본적 인 부대구조는 오늘날까지도 지속적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3. 교육훈련 체계의 정립 전간기에 해병대를 비롯하여 육군, 해군에 의하여 상륙전의 필요성이 전적으로 인식되었 을 지라도, 전전(戰前)에 이루어졌던 연습들은 아시아ㆍ태평양 전쟁중의 가장 소규모 작전 범위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1942년 봄에 태평양 함대의 상륙군 수송능력은 단지 6척의 수송선(AP), 두 척의 화물선(AK), 세 척의 구축-수송함(APD)에 불과하였다. 해군은 1941년 육 45) Rottman(2004 c), pp. 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