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page

146 국방연구 제51권 제2호 첫째, 지휘 통제 측면에서 보다 세분화된 상륙전 통제함선의 필요성과 성능이 향상된 무 선장비, 추가 무선 망, 방수 성능이 향상된 보다 튼튼한 무전기, 예비 무전기 그리고 모든 요소들 간의 근접 협조 등과 같이 그동안 연습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실질적인 요소들이 도 출되어 대비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둘째, 상륙군의 안전과 해안상에 강력하게 방어하고 있는 적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해군 화력과 공중화력 지원 계획이 체계화 되었다. 다양한 작전 환경을 가진 해안의 목표물을 제압하기 위한 화력의 각도와 융합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는데, 이는 단순하게 섬을 포격하기 보다는 특수한 목표에 대하여 공격을 하기위한 함정의 필요성과 향상된 목표 지정 체계, 그리고 함정과 항공간의 향상된 협조체제 구축 등이 개선해야할 문제점으로 부각되었기 때문이었다. 예를 들어, 상륙지역에 대하여 함포 사격이 중지될 시에 항공지원사격을 시작함으로써 화력지원의 효율성 증대와 상륙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화력지원 계획이 수립되었다. 또한, 함포 사격 지원시 상륙군이 공격을 실시하기 이전에 지금까지 계획했던 것 보다 훨씬 더 장시간 동안의 폭격을 지원하였으며, 작전 지역에 적 항공기 의 접근을 거부하기 위한 제공권의 장악과 함께 엄호 항공기를 운용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상륙돌격과 관련하여 보다 세부적인 사항들이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 다. 우선 상륙지역의 도서 인근 개펄 지역에 대한 상륙이 보다 더 효용성이 크며, 적어도 초기 4파에서는 상륙 보트에 의한 상륙 시도보다는 수륙양용차에 의한 육상 돌격이 더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체득하게 되었다. 또한, 산호초 등과 같은 장애물 지역에서는 고무보트의 비적합성이 입증되었으며, 상륙 주정의 방호와 무장, 그리고 후방 출구 램프에 대한 보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상륙지역에 대한 더 정밀한 수색의 필요성과 조수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었으며, 선견부대 작전을 통한 수중과 상륙 해안의 장애물 제거의 중요성과 진로 개척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상륙주정의 개발과 관련해서는 전전(戰前)에 해군에 의한 상륙 주정 디자인은 비효율적이었기 때문에 병력을 투사하기가 곤란하였으며, 포병을 비롯한 상륙 세력을 투사하기에는 한계점이 노출되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선수 램프를 장착한 상륙주정을 개발하였는데 LCP(Landing Craft Personnel), LCV(Landing Craft Vehicle), LCVP(Landing Craft, Vehicle, Personnel), LVTs(Amphibian Tractors), DUKWs 등이 그 산물이었다. 이러한 상륙주정의 개발은 강력하게 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있는 적 해 Publishing, 2004), pp. 38-58.; Gordon L. Rottman, US Marine Corps Pacific Theater of Operations, 1943-44 (New York : Osprey Publishing, 2004), pp. 35-48 ; Gordon L. Rottman, US Marine Corps Pacific Theater of Operations, 1944-45 (New York : Osprey Publishing, 2004), pp. 22-38 ; Gordon L. Rottman, US Marine Corps 1941-45 (New York : Osprey Publishing, 1995), pp. 12-19 ; Heinl(1991), pp. 319-509 ; Millett(1991), pp. 438-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