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page

국제체제의 변화가 동맹의 유형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123 억지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원국의 영토방위와 지역의 안정을 유지하는 집단방위 역할이었다. 또한 이러한 주둔형 동맹은 다른 어떤 동맹보다도 오래 지속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단 순한 군사동맹 이상의 기구나 제도로 발전되어 나갔다. 3. 단극체제와 능력형 동맹 세기의 전환기에 발생한 냉전체제의 붕괴는 국제체제의 급격한 변화를 야기하면서 국제 정치 학자들 및 관련 정책결정자들에게 중요하면서도 시급히 해결해야할 많은 문제들을 남겨놓았다. 그중에서도 가장 관심 있고 중요한 문제중의 하나는 냉전 이후의 국제체제의 성격에 관한 것이었다. 탈냉전체제의 성격과 관련하여, 일부 학자들은 미국이 유일 초강대국이라는 점은 인정하지만 이것이 단극체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극적 상황에 불과한 것이며, 이러한 단극적 상황은 오래 지속되지 못할 것이라고 진단하였다.25) 그러나 또 다른 학자들은 탈냉전체제는 단극적 상황이 아닌 단극체제이며, 미국의 단극체제는 상당기간 오 래 지속될 것이라고 예견하였다.26) 2001년 9․11 테러를 계기로 국제체제의 단극적 성격이 보다 부각되는 가운데 미국의 시 각은 21세기 국제안보체제를 단극체제로 규정하고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이라는 미 국력의 압도적 우위(preeminence)를 강조하고 있다. 미국의 압도적 우위는 경성권력에서 뿐만 아니라 연성권력에서도 목격된다. 연성권력은 국가가 지향하는 가치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미국의 경우, 민주주의, 개인의 자유, 문화적 보편성과 국제적 활동을 규율하는 일련의 유리한 법칙과 제도를 만들어내는 능력에서 상대적 우위를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경성권력과 연성권력은 서로 연관되고 상호보완적 구실을 하고 있다.27) 특히, 오늘날 미국의 힘과 관련 25) Charles Krauthammer, "The Unipolar Moment," Foreign Affairs(1990-91), pp. 23-33; Christopher Lane, "The Unipolar Illusion: Why New Great Power Will Arise," International Security(1993), pp. 5-51; Charles Kupchan, "After Pax Americana: Benign Power, Regional Integration and the Sources of Stable Multipolarity," International Security(1998), pp. 40-79. 26) John Ikenberry, "Institutions, Strategic Restraint, and the Persistence of American Postwar Order," International Security(1998-99), pp. 43-78; William C. Wohlforth, "The Stability of a Unipolar World," International Security(1999), pp. 4-51. 27) 경성권력과 연성권력의 구분은 행태의 특성과 자원의 유형에서 나타난 정도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 다. 두 가지 권력은 타국의 행동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자국의 목표를 성취시키는 능력의 서로 다른 측면을 드러내는 것이다. 지배적 권력(타국의 행동을 바꾸도록 하는 힘)은 강제나 유인에 의존한다. 선택적 권력(타국이 원하는 것을 구체화시키는 힘)은 문화나 이데올로기상의 매력이나 또는 정치적 선택의 의제를 조작하되, 행위자들이 그런 선택이 너무나 비현실적으로 비치기 때문에 그런 선택을 선호한다는 의사표시를 할 수 없게 만드는 형태로 조작하는 능력 따위에 의존한다. 지배적 권력과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