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page

국제체제의 변화가 동맹의 유형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121 이나 힘의 추구에 따른 경쟁이 아닌 국가 조직이념이나 사회경제체제적 가치의 우월성을 두 고 진행된 집단간 경쟁이라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18) 특히, 안보 메카니즘으로서 냉전체제의 등장은 다음과 같은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었 다.19) 무엇보다도 먼저, 냉전체제의 형성은 근대 유럽국가들의 태동에서 출발한 유럽적 안보체제의 지구화를 의미했다. 즉, 냉전체제는 진정한 의미에서 전세계적 안보체제로 작동하였고, 이전의 국제체제에서 보여주었던 지도체제, 집단안전보장, 그리고 동맹체제의 기본구조 혹은 특성을 갖고 있었다. 둘째, 냉전체제의 등장은 유럽 중심의 안보체제의 종식을 의미했다. 20세기 민족주의에 기반한 지정학적 경쟁논리의 폭력적 표출이었던 제1차 세계대전과 뒤이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유럽은 수세기 동안 누려왔던 지구적 우위를 상실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유럽 대륙내에서 조차 자신의 운명을 통제할 능력을 상실해 버렸다. 반면, 이를 통해 잉태된 미국과 소련은 핵무기를 기반으로 세계의 초강대국으로 등장하면서 소위 냉전 이데올로기의 세계적 확산 및 공고화를 통해 국제관계의 질서화를 강요하였다. 이러한 냉전체제에 있어서 특이한 점은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은 체제의 구조적 원칙과 행 위자들의 관계가 구성되어지는 절차적 규칙(procedural rules)이 동시에 작용했다는 점이다. 미국과 소련을 축으로 구성되는 진영 대 진영에 있어서 행위자들간의 상호작용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구조적 원칙의 측면을 반영했지만, 미국을 축으로 하는 자유민주주의 진영에 있어서 행위자들간의 상호작용의 유형은 절차적 규칙의 측면을 보다 강하게 반영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양상은 기본적으로 냉전체제에서 전개된 미국의 외교정책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미국은 소련 및 공산주의 세력팽창을 저지하기 위해 봉쇄정책을 추구하면서 민주주의 진영의 질서를 미국체제(American System)로 형성․발전시켜 나갔다. 그 과정에서 미국은 반공을 내세우는 국가들과 정치적 유대관계의 강화,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과 브레튼 우즈(Bretton Woods)체제로 상징되는 자본주의 경제질서의 형성,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군사동맹체제를 발전시켜 나갔다. 결과적으로 냉전체제에서는 아이켄베리(Ikenberry)의 지적처럼,20) 구조적 원칙에 충실한 미국과 소련을 축으로 하는 진영 대 진영의 봉쇄질서와 자유민주주의 진영내에서 절차적 규칙에 충실한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간의 서방 자유질서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성격을 보여준 냉전체제에 있어서 동맹 유형은 19세기의 정치형 동맹과는 확연히 18) 박건영․남창희․이수형, “미국의 동북아 동맹전략과 동맹의 안보 딜레마, 그리고 한국의 국가안보전 략에 대한 함의,” 한국과 국제정치 , 제18권 4호(2002), p. 39. 19) 이수형(2003), pp. 122-23. 20) G. John Ikenberry, "Liberal hegemony and the future of American postwar order," in Paul and Hall(1999), pp. 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