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page

- 80 - 즉 공공정책은 그 사회를 구성하는 소수 엘리트의 가치와 선호를 반영한 것으로 소수 특권층에 의해 문제해결에 대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는 이론모 형이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75) 권력은 균등하게 배분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대중은 정책결정에 서 소외된다 .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엘리트는 상류층에 속하는 집단에서 불균형적 으로 차출되고 폐쇄성이 강한 집단이다 , . 비엘리트에서 엘리트로의 이동은 아주 느리게 진행되며 오직 엘리트 , 가 동의하는 사람만이 엘리트계급이 된다 . 엘리트 집단은 유사한 사회적 배경과 가치관을 가지며 마이셀은 이 , 러한 것을 집단의식 단결력 공모 (group consciousness), (coherence), 로 라고 했다 (conspiracy) 3C .(J. H. Meisel, 1962) 다수 대중의 요구가 반영되기보다는 엘리트집단의 가치관을 반영하고 혁신적인 변화보다는 점진적 보수적인 경향으로 정책변화를 보이 , 는 것이 보통이다 .(T. R. Dye, 1984) 대중들은 무감각하기 때문에 엘리트는 대중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 고 반대로 엘리트가 대중에게 주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 . 집단모형 (2) 본 모형은 엘리트모형에 반대하여 제기된 이론이며 흔히 , 다원론 이라고 불리고 있다 즉 공공정책은 집단간의 투쟁을 통해 결정되는 . 투쟁의 산물 로 보는 이론모형이다 이러한 이론모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76) 엘리트 개인 는 관련 있는 분야만 영향력이 행사될 뿐 여러 분야에 ( )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다 . 부 경제 사회적 지위 및 권력의 소유자가 반드시 일치하지 하지 않 ( ), 기 때문에 여러 엘리트끼리 병존하고 있다는 이론이다 . 여러 엘리트 집단 상호간의 대립과 갈등속에서 협상과 타협을 통해 정책이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 엘리트가 엄격히 구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엘리트 집단의 폐쇄성 이 감소될 수밖에 없다는 이론이다 . 75) 유영옥 경영조직론 서울 학문사 , ( : ), 1998, p. 383. 《 》 76) 유영옥 경영조직론 서울 학문사 , ( : ), 1998, p. 38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