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page

- 79 - 할 만한 수준 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다 윌다브스키 는 정 . (Aron Wildavsky) 부의 예산 수립과정이 본 이론에 해당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 그런데 이러한 모형을 실제 적용함에 있어 매우 제한되는 면이 있다 예를 . 들면 여론의 변화나 위기가 발생할 경우에는 과거에 진행되어 오던 정책이 ,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상황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만족모형 (3) 본 이론은 행태론적 의사결정론의 입장에서 사이먼 과 마치 (H.A. Simon) (J. 에 의해 제시된 이론모형이다 합리모형은 March) . 절대적인 합리성 을 기준으 로 최적 대안을 선택하지만 만족모형은 , 제한된 합리성 을 기준으로 만족스 러운 대안 을 선택해야 한다는데 타당성을 두는 있는 이론모형이다 . 이모형은 현실적 만족에 집착한 나머지 창의력과 혁신의지가 결여되고 소 극적 행태를 보기 쉬우며 이익 극대화 보다는 의사결정자의 만족을 추구할 , 수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개발도상국들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모 . 형이다 . 최적모형 (4) 본 이론은 드로어 가 점증주의적 모형 만족모형과 같은 소극적 (Y. Dror) , , 보수적인 의사결정을 비판하면서 제시한 이론모형이다 이 이론은 정책과학 . 입장에서 경제적인 합리성과 초합리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한 거시적인 정 책결정을 위한 이론모형이다 . 따라서 안정된 국가에 적용하기는 좋으나 급속한 변화요인을 지니고 있는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타당하지 않다 그리고 이모형이 기여한 바는 정책결정 . 과정에 직관 판단 그리고 창의와 같은 초합리성 요인을 도입하였고 집행과 , , 정과 집행 후에 환류를 통한 정책 재결정에도 도움을 주었다 . 그러나 이 이론도 초합리성의 개념과 범위가 모호하고 최적 대안을 찾기 , 위해 기본방향부터 일일이 재검토한다는 것은 막대한 시간적 경제적 낭비를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드로어도 최적모형을 고집하지 않았다 , . 권력을 기준으로 한 의사결정모형 2) 엘리트모형 (1) 본 모형은 의사결정이 소수의 지배적 엘리트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