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page

- 143 - 음을 알 수 있다 그 절차를 설명하면 미래전에 대한 개념을 현재의 작전 . , 계획과 비교하여 증강될 전력 소요에 대한 합동능력을 도출한 후 합동실험 , 을 통하여 각 전력에 대한 전투발전요소의 변화를 파악하여 무기체계 및 기타 요소를 소요 기획에 반영하여 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획득체계로 전환시 , 키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림 미국의 합동능력통합발전체계 < 6-1> 합동능력통합발전체계는 미국의 국가안보전략(National Security Strategy) 과 국방부의 안보지침 에 따라 여러 합동미래개념 (DOD Security Guideline) 을 참고하여 실제적인 작전 운영개념 (Joint Future Concepts) (CONOPs: 을 세우는 것부터 시작된다 작전 운영개념은 철저 CONcepts of OPerations) . 히 능력 중심으로 설정되며 작전 운영개념과 이와 관련된 능력은 미국의 합 , 동능력서 에 수록되며 합동전투과학기술계 (JCD: Joint Capability Document) 획 과 같은 문서를 살 (JWSTP: Joint Warfighting Science & Technology Plan) 펴보면 그 내용의 일부를 유추할 수 있다. 이런 능력들은 위 그림에 분석으로 표현되어 있는 능력 중심의 분석 JCIDS 을 통하여 구체화되는 데 이 분석은 기능영역 (Capability Based Assessment) , 분석 기능요구분석 (FAA: Functional Area Analysis), (FNA: Functional Needs 기능해법분석 사후독립분석 Analysis), (FSA: Functional Solution Analysis), 의 네 가지로 구분된다 (PIA: Post Independent Analysis) . 임무영역분석은 군사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작전임무 조 , 건 및 표준을 식별한다 기능영역분석을 통하여 군사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 모든 기능영역을 가로질러 우선순위가 부여된 능력과 임무들이 가시화된다.기능요구분석은 기능영역분석에서 식별된 능력을 정립된 효과도 인자로 표현하여 기존의 전투체계와 계획된 전투체계 간 능력의 차이를 평가한다 기 . 능요구분석을 통하여 식별된 능력 간 차이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알 수 있다.기능요구분석은 반드시 정책과 전 영역의 전투발전요소를 모두 평가하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