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page

123 알면 상식이 되는 우리 역사 명칭 해설 1 해설 2 해설 3 전채 典彩 조선왕조 내명부의 하나로 궁중 내 비단과 실, 솜 등을 담 당하는 정8품의 궁녀     전최 殿最 고려왕조 조선왕조 공히 사용 경외(서울외)의 관원의 근무 상태를 조사하여 성적을 평가하던 방식으로 최상을 최(最) 라하고 최하등급을 전(殿)이라고 평가     전첨 典籤 조선왕 조종친부에 속한 정4품의 관직     전한 典翰 조선왕조 홍문관에 속한 종3품의 관직     전향사 典享司 조선왕조 예조에 소속된 관청으로 국가의 각종 연회와 제 사를 담당 왕실에 소용되는 의약품도 관리함     전화 典貨 조선왕조 내수사(內需司)에 속한 종9품의 관직     전회 典會 조선왕조 내수사(內需司)에 속한 종7품의 관직     전훈 典訓 조선왕조 종친의 교육을 담당하였던 교관 종학에 소속된 정5품의 관직     절노부 絶奴部 고구려시대 계루부, 소노부, 연나부 제나부와 함께 5부를 이룬 부족 대표     절도사 節度使 신라시대 지방 장관 고려왕조 지방 12주의 장관 조선왕조 병마절도사 수·군절도사를 둠 2품에서 4품까지 절제사 節制使 고려왕조 1도에 1명의 군사 책임자를 둔 것을 말한다. 일 명 도순무사, 도절제사 원수라는 호칭도 사용됨 조선왕조 정3품으로 지방에 파견된 병마절 제사·병마수군절제 사로 표기했다 일선 군 사령관격임   절제도위 節制都尉 조선왕조 절도사에 소속된 종6품의 무관     절충장군 折衝將軍 조선왕조 정3품의 당상관으로 무관직     점구부 點口部 백제시대 호구 파악과 노동력 징발을 하던 관청     정경부인 貞敬夫人 조선왕조 외명부의 하나로 정·종1품의 문·무관의 정실 부인에게 내린 작호     정광 正匡 마진국 9품계 중 1위품계임 고려왕조 문산계 정2 품 관직   정국공신 靖國功臣 조선왕조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차지하는 데 공 을 세운 사람에게 준 공신 칭호     정당성 政堂省 발해시대 중앙관서로 중대성, 선조성과 함께 삼성의 하나 로 행정집행기관 중대성 장관을 우상, 선조성 장관을 좌상 보다 상위인 대내상이라 했다     정당문학 政當文學 고려와 조선왕조 초기의 종2품의 관직. 고려 때 내사문하 성 소속이며 조선왕조는 문하부 소속이었다     정덕대부 靖德大夫 조선왕조 의빈     정동행성 征東行省 고려왕조 원(元)나라에서 일본 정벌을 위해 설치한 전방 사 령부 일본 원정실패 후 고려의 내정 간섭 기구로 변천됨     정랑 正郞 고려와 조선왕조 6조(曹) 소속의 행정실무책임자로 정랑 을 거쳐야 고위 공직자로 출세하는 중요직 책임 정5품     정략장군 定略將軍 조선왕조 종4품의 무관 품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