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page


210page

향산이영학(1904~1955.12.10) 66주기 수양동우회 관련 아버지와 2대 독립운동 집안, 동아일보 선천지국 기자와 지국장. 형은 친일인명사전 등재, 동생은 국가유공자 서훈 받지 못하고 두 형제가 망우리공원에 묻혀 있다 이영학은 1904년 평북 선천의 대지주 이창석의 3남으로 태어났다. 1922년 오산고보를 졸업하고 중국 남경 금릉대학에서 2년 수학하고 1924년 귀국하여 명신학교 교사로 근무했다. 1925년 미국으로 유학을 가 LA 모 하이스쿨에서 공부하다 5개월 만에 돌아왔다. 그해 10월 24일 동아일보 선천지국 기자로 임용되었다. 1928년 3월 20일 이영학은 선천지국장으로 임명된 이후 그의 활약상은 눈부시다. 그해 7월 13일 신의주에서 열린 국경기자대회(남만주와 평북 일대 중심) 회장으로 피선됐다. 다음 해 7월 6일 선천체육회 창립 의원으로 참가하여 7월 26일 제1회 전조선개인정구대회 대회장으로 우승기를 수여하였다. 7월 30일 선천에서 열린 제5회 전조선정구대회 대회장 1930년 평북소년육상경기대회 대회장을 지냈다. 1933년 8월 22일 선천군 신문기자단을 창설 회장에 피선됐다. 선천지역 문화체육활동을 이끌었다. 1935년 4층 건물 선천회관을 건립했다. 동아일보 기사 내용 “6년 동안 모은 선천지국 수입금 1만원을 기초로 사재 2만원 의연금 1만원 도합 4만원 예산으로 시작한다.”는 착공 보도를 하였다. 조선중앙일보 회관 낙성식 기사(1935.1.11)에 “이영학 개인이 일금 5만원 거액을 들였다.” 매일신보(1934.12.13)는 “이영학이 6만원을 희사했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이영학의 부친 이창석(1860~1941)은 동아일보 창간 시 선천지국의 첫 지국장, 형 이영찬은 2대 이어 이영학이 3대 지국장이었다. 아버지 이창석은 29세에 무과에 급제하고, 38세에 개신교 교인이 되었다. 장로였던 51세 때 ‘105인 사건(혹은 선천사건, 데라우치 총독 암살미수사건)’으로 구속되어 3년간 복역했다. 평북도 평위원 등 각 방면의 공직에 있으면서 사회교육사업에 전력을 쏟았다. 고아원·유치원·양로원·보성여학교·명신학교·상업실수학교 등 설립자나 이사장을 지냈다. 지역 재해 때마다 거액의 기부를 하였다. 특히 선천회관 준공 시 토지 5만평(당시 시가 62,000원)을 기부하여, 도합 12만 5,000원 재단법인으로 경영을 든든하게 뒷받침했다. 1941년 1월 19일 81세 일기로 별세하여 21일 선천회관에서 사회장으로 장례식을 거행했다. 형 이영찬도 망우리에 묻힌 사업가로 충추원참의로 친일인명사전에 등록됐다. 이영학은 수양동우회 사건을 치안유지법으로 피체되어 고등법원에서 문명훤 등 24명과 함께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동사건 판결문에 이영학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이영학은 1924년 1월 중순 상해 흥사단 원동지부에서 흥사단에 가입하고, 다시 1월말에 경성 이광수 집에서 수양동우회(흥사단 국내 조직)에 가입했다. 이광수·장리욱 등과 회원모집과 활동 방안 등 수차례 협의와 수행했다. 개인적으로 동우회 기관지 《동광》을 출간하는 ‘동광사’에 100원을 기부했다. 그리고 선천의 목욕탕에 포스터를 붙여 민중을 선동한 사실 등이 적시되어 있다. 최종심에서 전원 무죄로 풀려났다. 부친과 아들 2대에 걸쳐 신민회 및 수양동우회 말살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며 독립운동을 한 집안으로 그동안의 어려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두 단체의 지도자인 도산 안창호 선생의 민족과 국가에 대한 사랑과 독립운동사에서 그 비중은 크다고 할 수밖에 없다. 해방 후 건국준비위원회(위원장 여운형)의 제1회 위원회 개최를 위한 초청장에 오세창 선생을 비롯한 135명 중 한 사람으로 이름을 올렸다. 한민당 발기인으로 동우회 회원들과 참여했다. 남북분단으로 북한에서 어려움을 겪다가 1.4후퇴 때 단신 남하한 후 홀로 외롭게 생활하다 심장마비로 오류동 집에서 별세했다. 부인 강경신은 이화여전 문과를 졸업한 신여성이었다. 중랑구청 망우리공원과와 한국내셔널 트러스트 망우분과에서는 이영학 독립운동가 서훈을 받기 위한 자료 찾기와 관계 기관 협조를 구하며 노력하고 있다. 출처 : 정종배시인의, 망우리공원 인물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