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2page


292page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성 및 복장유물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은 흙으로 형태를 만든 뒤 그 위에 삼베를 입히고 칠을 바르고 말리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서 일정한 두께를 얻은 후 조각하여 만든 건칠불상이다. 불상의 초창기 기록이 확인되지 않아 정확한 제작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이르면 8세기 후반에서 늦어도 10세기 전반 무렵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바탕층 삼베의 방사선 탄소 연대 측정 결과를 토대로 한 것이다. 측정 결과 삼베의 제작연도는 770년~945년 정도로 추정된다. 이는 93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보물 제999호 합천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과 더불어 우리나라 최고의 건칠불상에 해당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불교 조각사에서 중요한 위치와 의미를 갖는 불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불상은 오래전부터 청량사 유리보전의 주불로 봉안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엄숙한 상호, 당당하고 육감적인 양감, 균형 잡힌 신체, 탄력과 절제된 선묘등에서 석굴암 본존불 계통의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 양식이 나타난다. 복장유물로는 중수과정에서 납입된 것으로 보이는 발원문과 후령통, 복장전적및 금강계만다라 등 모두 19건 208점이 있다. 이 중 1560년 중수 때 납입된 '천인동발원문'에는 불상이 처음 만들어진 후,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에 중수된 기록이 담겨있다. 또한 '삼십칠존종자만다라팔엽일륜'은 고려 고종 26년(1239)에 납인된 것으로서 불상의 중수 연대 추정에 도움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