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page

충북 독립운동 사적지 기초조사 보고서 16 1. 충북지역 독립운동사 연구 현황과 과제 박걸순(충북대학교교수) 역사의 연구에서 지역사는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역사학의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이나, 독 립 운동사에서도 지역사적 접근이 요구된다. 그 까닭은 특정한 운동의 공간적·국지적 활동은 물 론 3·1운동처럼 전국적·거족적으로 전개된 투쟁도 지역에 따라 전개양상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 이다. 독립운동에서 지역별 차이를 보이는 것은 전통적인 향촌질서와 신분구조, 문화와 사상 의 전승 등 역사적 조건, 지역별 상권과 교통망 및 산업구조 등 경제적 기반과 일제의 식민지 지 배 가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 등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근래 지역공동체의 정체성을 확인하려는 노력이 지역사의 규명을 통해 경주되고 있다. 특 히 일부 자치단체나 향토사연구회, 문화원 및 기념사업 관련 단체 등은 지역사 규명에 매우 열 심 이다. 이 과정에 그 지역 대학 교수 등 전문 학자들이 참여함으로써 종래의 지역사 연구에서 지 적되었던 ‘아마추어 지역사(local history as amateurism)’의 경향이 극복되고 있음은 다행 한 일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1990년대에 들어 지역의 독립운동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 고, 주목할 만한 연구업적이 산출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독립운동사에서 지역사적 연구는 아직 제대로 정리되지 못한 실정이다. 물론 전라지 역 의 의병전쟁, 중국과 접경한 지역의 무장투쟁, 서울과 평양 등 대도시 중심의 사례연구는 독 립 운동의 전모를 연역적으로 밝히는 귀중한 단서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런데 충북지역의 경우, 의 병전쟁이나 3·1운동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현상적이고 나열적인 정리조차 이루어지지 못하 였 다. 1) 그 주요한 요인으로 운동사적 측면에서 충북이 타 지역에 비해 미약하여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고, 연구자가 부재했던 사실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충북지역의 독립운동사는 일제의 경제 침탈이 충북지역의 사회경제에 미친 여파, 독립운동 주 체 세력의 존재 형태와 역량, 시기별·계열별 독립운동의 구체적인 사례연구 등이 종합되어야 올 바르게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충북지역 독립운동사의 연구현황 과 과제를 검토하려는 것이다. 먼저 충북지역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을 개관하고, 연구사를 정리 1 충북지역 독립운동사에 대한 연구사 검토로는 다음의 논고가 참고 된다. 신영우, 1998, 「충청지역의 지역사 연구현황과 과 제」,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한국사연구회·경기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문. 朴杰淳, 2000, 「忠北地方 獨立運動 史 硏究現況과 課題」, 『한국독립운동사연구』15. 충북 독립운동사 개관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