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7page

요구하며 소작인 투쟁을 전개했다. 농민들의 조직은 1924년 4월 전조선노농대 회 · 남선노농동맹 • 조선노농연맹회 동 182개 단체가 참여한가운데 조선노농 총동맹 창립으로 니-아갔다. 1930년 이후에는 일제가 농민조합 활동을 강력하 게 탄압함에 따라사회중의 운동과 결합, 혁명적 적색농민조합이 결성되어 일 제 통치에 저항하였다. 일제하 농민운동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1920∼1924년의 시기로 농민운동이 결집되는파정이라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지주에 대한 소작인의 투쟁인 소작쟁의 형태가- 주를 이룬다. 소작인조합은주로소작료 인하와소작권 이동반대를위해 소작쟁의를 전개했 다. 대표적인농민운-동은경남창녕군영산면소작인회운동 · 전북익산 • 김제 농민의 수리조합 반대운동(1921)' 전남 무안군 암태도 소작쟁의(1924), 황해도 재령군 북률면 여물평 동척농장의 소작쟁의(1924-1925) 퉁이다. 두 번째 단계는 1925∼1929년의 시기로 소작인조합이 농민조합으로 개편되 고 지주를 상대로 한 소작쟁의만이 아닌 수리조합 반대운동 내지는 독물검사 반대운동동제국주의 농업정책에 반대하는투쟁으로전개되었다. 전남무안 군 지은도 소작쟁의(1925) 전북 옥구군 이엽사농장쟁의(1927), 황해도 봉산군 서종면민의 수리조합 반대운동0928), 평북 용천군 불이흥업 서선농장쟁의 (1927∼1931) 퉁이 그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1930∼1935년의 시기로, 농민운동 고양기이다. 이 단계의 농 민운동은 평북 용천군 불이흥업 서선농장쟁의(1927∼1931), 전북 전주 우근농장 쟁의(1930)' 경남 김해 박간농장쟁의0932) 등과 함남 단천의 농;민폭동0930), 함남 정평의 항일농-민시위(1930), 함남 홍원의 시위운동(1931) 둥이 전개되었 다. 전자는 기존의 농민조합을 중심으로 일본인 대지주를상대로 한폭동의 형 태로진행된 것이 확징이다. 반면에 후자의 경우는농민들이 일제타도, 치안유 지법 철폐, 민족차별 폐지, 언론 • 집회 · 결사의 자유획득둥정치적 요구를제 기하였다 그러나 웬제 식민지 당국은 폭동화해 가는 농민운동에 대해 기혹한 탄압을가함으로써 농민운동의 기본조직이 위축되어 지하로잠꼭하게 되었다. |고Ocf군의농업 여건과농민항쟁| 고양군지역은한강하류꾀충적평야지 저14편 I 3 · 1운동 이후 띄 국내외 독립운동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