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page

실 향 민 정 착 초 창 기 의 속 초 33 어다니던 모습이 사람들의 눈에 띄었다. 양곡이 귀하던 당시로서는 상상조차 하기 힘들었던 밀주를 고복수 내외가 직접 담아서 내놓기 도 했는데, 이것이 장교들에게는 대단한 인기였다. 이는 고복수가 아 마도 자신을 도와 주었던 장교들의 후의에 보답하기 위한 것이었으 리라 짐작된다. 1934년 가요 「타향살이」로 우리나라 트로트 시대의 개막을 알린 고복수는 황금심과 결혼한 이후 한국전쟁 중에 공산군에 붙잡혀 북으로 끌려가다가 간신히 탈출해 돌아왔다. 이후 육군 정훈공작대에 지원하여 군 위문연예대원으로 활동했다. 2000 년에 발간된 í��속초시거주 피난민정착사��에도 고복수·황금심 부부에 대해 나온다. 전쟁 중이기 때문에 군의 사기진작을 위한 연예인단(악극단) 출연 이 잦았는데 고복수, 황금심, 황해, 백설희, 김승호, 김희갑, 허장강 등 연예인들이 속초에 상주하기도 하였다. 가수 고복수, 황금심 부부가 피난민들의 요청으로 “타향살이”를 부를 때면 울음바다를 이루었다. 1983년 4월 23일자 경향신문에도 수복 후 속초를 문화의 도 시로 살찌운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고복수, 황금심 부부가 고향다방(영랑동)을 경영하며 가요활동을 펼친 것”을 들고 있 다. 고복수와 황금심은 속초 생활을 정리하고 서울로 올라갔다 고 하는데, 언제 속초생활을 정리했는지는 알 수 없다. 고복수는 1958년 서울의 ‘시공관’에서 은퇴공연을 했다. 타향살이의 고달 픈 인생을 노래한 ��고복수��의 고향다방은 갈 수 없는 북녘에 고 향을 둔 많은 실향민들에게 큰 위안이 되었던 것만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