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page

그 뒤의 거의 모든 정치 투쟁에서도 잘 나타난다. 그리고 지역의 학생운동이 여타 지역의 활동과 다른 면모를 보인 부분도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연대 조직으로서 지역 내에 뿌리를 내린 청년 조직과 주민 조직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보다 대중적인 청년 조직을 중심으로 한 다OJ하고 광범위한 지역 조직을 운영하고 있었 고, 한편으로는 노동운동을 비롯한 다OJ한 지역 내 활동과 연대하고 있었다. 뒤에 이러한 광범위한 활동력과 인적 자원 등은 합법적 선거에 참여하는 정치 활동으호 까지 영향력을 확산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점이 지역 민주회운동 세력의 성공과 문제점을 동시에 만들어냈다. 지나친 정파적 성향으로 인한 극심한 운동 세력 내 갈등과 역설적이게도 민주주의 세력 내 비민주주의적 사업 방식의 문 제를 고스란히 드러내기도 한 것이다. 소위 운동권 내 좌 · 우의 대립이다. 지역의 경우도에외는아니었다. 2. 근로 현실과노동운동의 발전 성남 지역의 노동운동은 1970년대 이후 나타난 전국적인 상황과 비슷한 양상을 띠었다 첫째, 성남의 노동 환경은광주대단지 사건의 효과로 건설된 공단과 공단 외 가내 수공업 업체들로 분리해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양자의 노동 환경은 별로 차이가 없 었으며 최악의 상황에 처해 있었다. 그들은 그 존재만으로도 이 사회를 지탱하는 근본이자 미래였지만 동시에 가장 열악한 피억압의 상황에 있었다. 그들은 낮은 학 력과 어린 나이, 게다가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며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 깨달 을 시간도 없었다. 당연히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질만한 처지도 아니었으며, 대체 적으로 공장과 집 등 제한된 인간관계 속에서 생활을 해야 했다. 그들에게 주어지 는 최저 생계비에 한참못 미치는 노통의 대가또한 이들의 사회적 소외를부추겼 다. 지역의 특성을 대입해보면 이와 같은 현상은 더욱 악화된다. 성남 지역은 대다 수가중소규모의 사업장으로구성되어 있었으며, 공단외곽에 다수의 가내 수공업 형태의 하청 공장들을갖고 있었다. 따라서 노동지들이 자결적 권리 의식을갖기에 는 여러 가지로불리했다. 다음의 자료를보자. 54 제7권-민주주의 민주효댄동과시민사회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