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page

‘” l ..,....I-"()-_ -에’‘”· 「~ ~rh­ ‘l'l"-i4't1~ -N • YPCζ 얘 ‘ · ‘ . 첫째, 광주대단지 사건은 우선 판지촌 철거민들의 삶이 끊임없이 추방당하고 버 림받은 삶이긴 하지만, 자신들의 미의 E 한 힘도 하나로 뭉치기만 하면 최소한의 생존 권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따라서 투쟁을 통해 스스로의 권익을 수 호해야 한디는자신감과 의욕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시발로 1974년 청계 천 변 및 송정동주민 시위, 1977년 영동철거민 사건, 1979년 해방촌주민 농성 사 건 등과같은 칠거민 반대 투쟁이 잇따랐다.3 둘째, 도시 빈곤층의 적극적인 생존권 투쟁에 자극받아 진보적 지식인들과 종교 인들이 빈민 문제에 관심을 갖고 빈민 지역 주민을 조직화하는 현장 활동에 적극 나서게 되었다.4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연세대학교 도시빈민연구소 산하의 도시선 교위원회이다 이들은 연구소의 틀을 벗어나 ‘수도권 도시선교위원회’ 를 통해 1979년 해체될 때까지 빈민운동의 중추 역할을 했다. 셋째,당국은행정적 강제력을동원한판지촌철거가더 이상불가능하다는사 실 을 깨닫고, 이들을 부분적으로나 마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순치시키는 방안을 모 색5 하게되었다. 2. 도시 빈민운동의 태동 유신으로 대변되는 정치적 빙하기와 이를 뚫어내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었다. 지 역의 경우, 독자적인 행보보다 는 중앙의 정치적 행보에 발을 맞추었다. 주목해야 할 점은 한국적 민주화운동의 한 전형인 종교 세력이 이 시기 얼어붙은 초기 민주 화운동의 주요동력이었다는사실이다. 전국적으로유효한 이러한사실은지역에 서도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출발은 산업 선교나 도시 빈민 선교라는 의식적 목 표를 가지고 외부에서 들어온종교단체 소속이었다. 대표적인 시-례가비-로개신교 소속의 주민교회와 만남의집, 천주교 소속의 메리놀공동체 등이다‘ 주민교회의 경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지원을 받아 주민 조직에 가까운 형 태로 처음 간판을 세운 것이 1972년 5월의 일로, ‘주민병원 설립 추진위원회’ 가 그 3정동익, r도시빈민연구 J' 아침, 1~5. 4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r성남지역실태와노동운동」 , 민중사, 1986, 46--‘17쪽 5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r한국민주화운 동사 J 1권, 2008, 657-658 쪽 48 제7권 -민주주의 낀주 화운 동과시인사회환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