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page

3. 성남 민주호}운동의 당면 과제 성남 지역을 기반으로 사람들은 특정한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신들의 역사를 만 들어왔다. 통상적으로 성남의 공식 역사는 1970년대 이후부터 시작하지만 이미 살 펴본바와같이 일제강점기에도특정부분에서 식민권력에 대한투쟁을 전개해 왔 다. 민주회운동이라는관점에서 보면성남지역이 운동에 뛰어든 역사는다 른 지역 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지지만 1987년의 6월 항쟁이나 노동자 대투쟁에서 보듯이 다 른어느지역에못지않은활력과강인함 을보였다 1990년대중반민주화운동의종 언 이후 사회운동이 다기화하는 상황에서 다OJ: 한 정치적 지향과 비전을 갖는 무수 한 지역의 시민 단체들은 다채로운 방식으 로 민주회운동의 전통을 어떠한 형태로 든지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는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지역 공동체로서의 기능 을갖는신시가지에서의조직과활동들이함께하고있다. 이러한 운동 을 통 해서 자기 완결적이고통합된 지역 공동체가 출현할 수 있 을 것 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사이에 의견이 엇갈라고 있는 것으 로 보인다. 한 편에서는성남지역에서 운동의 정치적 성격이나스펙트럼에서 다OJ: 한 결사체들이 존재하지만, 예컨대 민주노동당을 지원하는 민중연대와 정치 지향 을 달리하는 결 사체나 사회단체들 사이의 협력 모델은 별로 발견되지 않고 있다. 지역 공동체 형 성 운동에서 정치 노선이나계급 이익을넘어서서 협력할수 있는많은사안들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많지 않디는 지적이 있다_60 또다 른 연구자 는 1980년대의 사회운동에 대한 ‘정치 중심’ 의 관점에서 1990년대 시민 결 사체를고 찰하거나, 혹은 1980년대 사회운동에 대하여 자망 선고 ’ 를 하였고, 1990년대의 시 민 결사체를 사회지본의 관점에서만파악해 온 기존 연구에서 포착할수 없었던 한 국사회의 지역 결 사체가갖는 역사성에 주목할 것을강조하였다.61 1980년대 구시가지를 중심으로 한 사회운동 결사체가 성남 지역 시민 공동체에 E30한도 현, 「지역사회 내의 결 사체분 포와 네트 워크」, r지역결사체와 시민공동 체j, 백산서당, 2007, 97 쪽 그런가하면 이 지역의 사회운동단 체들과 성남 외국 인노동 자의 집과성남 시의 사회운동단 체 사이에는 거의 교류기 없다는 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 시민운동단 체 내에서는 성남외국인노동자의 집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보이고 있지 않으며, 성 남 외국인노동자의 집은 성남문화클럽의 사 회봉사 에서도크게 소외되어 있 다는 것이다 (한 도현 「지역 사회 내의 결 사 체 분포와네트워크」, r지역결사체와시민공 동체, , 백산서당, 2007, 151쪽) 61 이희영, 「 사회운동에서 생활정치로 지역 결 사체 활통가의 생애사재구성 」i r 지역결 사체와시민공동체 」, 백산서당, 2 007, 156∼157쪽 42 제7권 민주주의 민주화 운 동과시민사회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