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page

제3젤 민주화운동의 방향 및 과제 1. 신사회운동의 부상浮上 대략 1990년대를 경계로 하여 민주화운동이 종언을 고함에 따라 민족운동과 계 급운동은 변화된정세에 적웅해야하는새로운과제를부여받게 되었다. 예속적이 고 반민족적으로 규정된 국가 권력에 대한 반대를 통해서 스스로를 키워 왔으며, 그에 대한 도전을 통해 통일을 ‘촉진’ 한다는 차원에서 자신의 운동 영역을 단순화 시켜 온 민족운동은 일제의 식민 지배와 분단 체제에 기원을 둔 모든 형태의 인간 의 고통과 인권의 억압, 인도주의의 말살 및 역사의 왜곡과 은폐와 같은 다양한 주 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국가 권력의 획득을 목표로 하면서, 시장의 영 역에서 물질적 이익의 확보를 전자에 대한 단순한 수단으로 간주하여 온 계급운동 은 국가와 시장의 물신화된 가치가 아니라 인간의 권리와 존엄, 정의에 대한 믿음, 동지적 도덕과 집단에 대한 헌신성 등의 대안 가치들을추구하는 대중 정서의 확산 에 대웅해야 할 절실한 필요를느끼게 되었다. 민주화운동을 축으로 한 사회운동의 파장이 사회 전반에 던진 파문은 엄청난 것 이었으며, 또한 결정적인 정치적 변동을 야기했다 그러나 체제 자체에 대한 영향 력이 의외로 미약했던 것은-물론 강력한 국가와 ‘효율적인’ 시장 기제라는 외적 요인의 기여도 컸지만-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민족운동과 계급운동이 이러한 변화를 현실로 인정하지 않고 이전과 마찬가지로 국가와 시장의 영역에서 물신화된 가치들을 계속 추구하는 한, 사회운동의 미래는 닫혀 있다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열린 미래를 추구히는 대안의 하나로유력하게 거론 되고 있는 것이 1990년대 이후 부쩍 논의의 중심으로 부상한 이른 바 신사회운동일 것이다 국가 영역에서의 권력이나 시장 영역에서의 성장에 대한 물신성 추 구 이외의 다 른 대안에 대한 모색이 혼란스럽고 막연한 것만큼이나 이 운동에 대한 정의와 해석 은다OJ하고또한모호하다. 새로운사회운동에서 ‘ 새로움’ 의 정의는두가지 측면 에서 파악된다. 한편으로 이 운동은 기존의 운동에 대한 부정과 비판이라는소극적 제1표정의사회를위한행통, 민주화운동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