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8page

학교 행사 협조 등 학교의 부수적인 조력자로서만 존재하였다. 그러나 ‘참학’ 과 ‘인간교육’ 은 정부나 학교 당국에 대하여 협조보다는 감시나 비판의 역할을 자임 하고 나섰던 것이다. 나아가 이들은 교육계 밖의 정치 · 사회 단체들과도 연계된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 에 참여하여 정부나언론을상대로교육정책에 대한자신 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면서 정책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였다 이 러한 학부모 운동의 정치회는 외부로부터의 비판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회의도 불 러 일으켰다 즉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의 강한 정치적 · 이념적 색채에 회의를 느 낀 ‘인간교육’ 이 탈퇴함으로써 소위 진보적 교육 시민운동 내부에서 입장 차이 혹 은 균열이 나타나기 시작했다.5 여하튼 학부모 단체들의 강한 정책 참여는 종래의 육성회 등과같은순수한학부모조직들과는그성격에 있어서 근본적인차이가 있 다고하겠다. 또한 1995년 교육개혁위원회가 단위 학교의 교육 자치를 이상으로 제안한 학교 운영위원회(약칭, 학운위)는 우리나라 초 , 중등 교육의 운영 구조를 근본적으로 흔들 수 있는 제도였다는 점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학운위는 당연직인 학교장을 포함한 교원과 학부모 및 지 역 사회 인사(교육계 인사, 동문회의 대표, 기업인 등)들로 구성 되어 학교의 규정과교육과정, 교과서 선정, 방과후교육활동, 교복선정,수학여 행, 학교운영 지원비, 예산및 결산, 교원의 초빙 등학교운영의 제반에 관하여 심 의하기 때문이다. 특히 학부모 및 지역 사회 주민이 학교 운영의 주체로 참여하게 되었을뿐아니라그들이 디수를 점한다는사실도중요한상징적인 의미를갖는다. 학운위에서 활동한학부모들은 2000년 전후에 지역 단위로학교교육운영위원회 협 의체를 조직하였으며, 2005년 11월에는 전국학교운영위원회총연합회를 창립하기 에이른다. 2000년 학운위 협의체 조직을 전후한 시기에 각 단위 학교의 학부모회를 비롯하 여 도서관사서 도우미,급식 모니터단등학교활통을보조하는기능을가진학부 모 조직, 그리고 공동 육아와 공동체 교육, 자녀 안심하고 학교보내기 운동, 학부모 정보감시단, 학교를사랑하는학부모모임 등 자녀의 OJ육과 보호를 넘어 학부모 교 육권 실현 등을 내세운 다양한 학부모 단체틀이 생겨났다. 이들 다뺨 성격의 학 4 이병희 외, r학부모 및 학부모단체의 실태파악과활생화방안 연구J,교육과학기술부, 2009, 20쪽 5 양정호 김성천, 「한국교육시민 단체의 현황과과재」, r한국교육J V。1.33. N。1,2oo5, 289-2'):}쪽 298 제7권-민주주의 민주호댄통과시민사회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