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page

운정책을속속발표하였다. 광주대단지 사건은 본질적으로 1960년대 수출 지향적 공업화 정책이 야기한 결 과물이었다. 국가의 저임금 노동에 기초한 급속한 산업화 전략에 따라 당시 대도시 에는농촌에서 이농한대규모의 산업 예비군이 형성되었다. 이들은도시의 일용노 동자나 비공식 부문 종사 노동자, 소생산자 및 영세상인, 빈민 등으로 구성되어 있 었고하층노동자들이었으며자본제적사회관계의산물이었다. 그러므로광주대단 지 사건은 일차적으로 도시 빈민의 생존권 운동이었으나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노 동자 대중투쟁이라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거시적 측면외에 광주대단지 사건은보다구체적인 수준에서 이후성남지 역의 사회운동과 노동운동에 몇 가지 중요한 영횡뇨을 미쳤다. 먼저 광주대단지 사건 은당시집권세력에위기감을불러일으킨대중투쟁이었다‘ 집권이후야당과학생 들에 의한 민주화운동 이외에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지 않았던 박정희 정권에게 그 것은하나의 사건이었다. 이런반응은주민요구에 대한신속한수용에서도나타났 다. 그리고 예컨대 1980년 5. 18 광주 민주화운동이 발생했을 때 광주 외에 유일하 게 성남지역에 공수부대가투입된 것도같은맥락이었다. 억압적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성남시는가장 일차적으로감시와통제, 차별과배제의대상이었던것이다. 반대로 사회운동과 노동운동의 주체들에게도 광주대단지 사건의 경험은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광주대단지 사건의 승리 경험은 이후의 사회운동과 노동운동에 곧 바로 전승되었다. 기독교와 천주교 사회운동 조직은 성남시에서 새로운 사회운동 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여 각기 지역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이들에 의해 투쟁 경험은 체계적으로 전승될 수 있었다. 또 빈민운동과 노동운동에 투신하그l자 했던 서울 지역의 많은 대학생들은 성남에서 자신의 활동 기반을 찾기도 하였다. 성남 지 역은 구로공단 및 인천 지 역과 함께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 수도권 노동 운동의 중심적인 지역으로부각되기 시작하였다. 2. 공단 형성과 초기 노동운동(1974∼1987) 성남공단은 철거 이주로 생활 기반을 잃은 주민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려는 목적 으로 1971년에 승인되었다. 제1공단과 2공단은 1974년, 제3공단은 1976년 준공되 제1관정의사회를위한행동,민주화운동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