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page

공헌을 위해 조성하여 공익적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협동조합의 제7원칙 중 제6원 칙인 ‘협동조합 간 협동’ 을 실천하여 1989년부터 주민소비자생활협동조합(약칭, 주 민생협)의 설립을 지원하였으며, 2008년에는 성남의료생협 설립을 적극 지원하였다. 또한 제7원칙인 ‘지역 사회에 대한 기여’ 로 주민신협 자체 공간 내에 주민 생활관 을 열어 지역 NGO 및 시민사회단체, 사회적 기업에게 사무실을 제공하며, 조합원 및 지역 주민들을 위한 다OJ한 문화생활 표로그램을 개설함으혹써 지역 사회에서 협동사회 경제를 위한 공동체 마을 만들기를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그 밖에 신협은 아니지만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의 지활 참여자들。1 2008년 4월 3일 해밀협동조합(이사장강승임)을 창립하였다. 해밀협동조합은 저소득 빈곤 계층을 위한 소액 대출(마이크로크레디트)을 운용하며, 공제협동조합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3. 생활협동조합운동 1) 생활협동조합의 유형과사례 우리나라 생활협동조합(약칭, 생협)의 전신은 광산 지 역인 강원도 평창군에서 1979 년설립된 ‘신리소비자협동조합’ 으로볼수 있다. 이후한국의 생협 운동은다음네 가지 형태 속에서 생협 조직으로발전하였다 첫째,도시 지역에 처음 출현한구매 생협은신협이 전개해 온지역 사회 개발사 업의 일환으로농촌신협과도시 신협의 농산물직거래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1970 년대에 영세 농어민의 소득증대 사업의 하나로시작한것이 농산물직거래인데 이 러한신협 활동을근간으로하여조직된생협 중하나가성남의 ‘주민생협’ 이다. 둘째, 농민운동과 협동조합 운동에 모태를 둔 친환경 농업 생산자가 도시에 진출 하여 친환경 유기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논 도농 연대 협동 운동의 일환으로 전파한 ‘한살림 운동’ 이다. 1986년 생명 샤상을 지닌 농민 운동기들이 서울에 ‘한 살림농산’ 매장을 개설하고 소비자를 조직하여 지금의 ‘한살림연합’ 으로 발전했 는데, 그지역생협중하나가 ‘한살림성남용인생협’이다. 셋째 ' 1987년 민주회운동 이후 개신교(YMCA), 천주교, 불교 등 종교 단체와 여성민 우회 등 시민 단체의 활통을 모체로 하여 설립된 단체 생협이다. 1989년에 여성민 제1표정의사회를위한행동,민주호댄동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