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page

68 40문 40답으로 알아보는 11·3 학생독립운동 2월 5일에는 동흥중·대성중학교 학생 300여명이 ‘광주학생들에게 동정하자’ 등 의 문구를 쓴 격문을 뿌립니다. 용정의 학생 시위는 2월까지 지속되어 수십 명의 학 생이 퇴학을 당합니다. 북간도 학생들의 시위는 블라디보스토크 라디오로 방송되면 서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서간도의 신흥학교 학생들은 2월 7일에 만세를 불렀으며, 16일에는 구룡평학교 200여 명이 깃발을 흔들며 시위를 벌였습니다. 해외에서의 학생 시위는 국내 시위 가 잠잠해진 3월에도 계속되었습니다. 간도에서는 학생 중심으로 시위가 전개되지만, 상하이에서는 독립운동 단체가 중 심이 되어 광주 학생들의 시위를 지지합니다. 1930년 1월 11일, 안창호 등 1,000 여 명이 참여한 집회를 열어 광주학생운동에 관한 경과보고를 하였습니다. 일본에서는 1929년 12월 24일 2·8독립선언서를 낭독했던 도쿄 기독청년회관 에 200여 명이 모여 학생독립운동에 관한 연설을 하다 일제 경찰에 의해 해산당합 니다. 이밖에도 연해주나 미주 지역에서도 광주학생운동의 진상이 신문에 게재되고 시위학생들에 대한 일제의 탄압을 비판하였습니다. 이처럼 광주에서 시작된 11·3 학생독립운동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까지 파급되면 서 활발하게 전개되었습니다. 해외의 참여 상황은 어떠한가요? 광주를 넘어 전국·해외로의 확산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