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page

연기우 의병장은 서울진공작전 이후에도 그는 임진강을 넘나들며 경기도의 포천, 삭녕, 철원, 연천, 마전, 장단, 적성 등지를무대로 활동하며 일본 헌병대와의 전투에서 한 번도 패히-지 않아 일본 헌병들이 두려워하였다. 군기가 엄정하여 민간에 폐단이 없어 인심의 적극적인 호응을 받 아 의병활동을 장기화할 수 있었다. 연기우는 일제의 강력한 진압작전을 피하기 위해 경기도와 강원도의 접경 지역에 있는 광덕산에압편LI I)의 천연 요새지에 근거지를 구축했다. 그의 부대원은 300∼400명에 달하였는데 대다수가 40∼50세 된 수십년 경력의 1등 포수들이었다. 연기우 의 병은일본군경과씨울때 결코상대방을얄보지 않고 인근지역 강기동(갖4땐), 이진룡{李鎭빠 의진 등과 연합작전을 전개했다. 수색대를 만나면 즉시 일반주민으로 옷을 갈아입고 종적을 감 추었다. 그리히여 연기우 의병은 일본 군경에게 두려움의 대싱이 되었다. 3) 애국계몽운동 (I) 애국계몽운동배경 가. 아관파전과 대한제국의 수립 고종은 을미사변으로 신변에 위협이 커진 상태에서 일본의 압력으로 친일 내각이 성립되어 고립무원의 상태가 되었다. 마침 지tlc)써l서 들불처럼 일어난 의병 진압을 위해 중앙의 친위대까 지 동원하게 되어 수도 경비에 공백이 생긴 기회를 이용히여 고종과 왕세자기-1896년 2월 11일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아관파젠 고종은 이후 1년간이나 러시아 공사관 H서 거처하 며 정무를 보았디-. 이 사건으로 친일파가 정권에서 쫓겨나고 친러파가 정권을징-Q}하였다. 고종의 러시이공사관 체류기간이 길어지면서 국내외적으로 고종 환궁 여론이 비등하여지자 러시아공사관 파천 1년 만인 1897년 2월 20일 경운궁(현재의 덕수궁)으로 환궁하였다. 추락한 국 가 위신을 세우기 위해 1897년 10월 황제즉위식을 거행하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쳐 내외 에선포하였다. 2. 경기도 국권회복운동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