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page

제주 항일운동 사적지 활용에 대한 고찰 43 는 사적지 활용을 포함하여 항일운동의 대중화 문제, 더 나아가서는 역사 대 중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해 보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역사 대중화를 성 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 그 전제로서 해당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한 연구성과를 토대로 역사 대중화가 이루어지 는 것이 바람직함은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사적지 활용, 나아가 제주 항일 운동의 대중화를 논하는 글이지만, 역사 연구 부문도 포괄하여 함께 논의해 보려고 한다. 1) 연구 현황 제주의 항일운동 연구는 대개 2000년대 전반기까지 일정하게 활기를 띠다 가 최근 10년 동안은 연구가 부진한 상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항 일운동 연구는 앞서 언급한, 한말 의병투쟁, 5) 법정사 항일투쟁, 6) 조천 만세 시위, 7) 해녀들의 항일투쟁, 8) 사회주의 계열의 사회운동 9) 중심으로 이루어졌 다. 2000년대 전반기까지 이루어진 연구성과를 토대로 제주 항일운동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게 된 점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항일운동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많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법정사 항일운동의 경우 다수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논문 편수에서 알 수 있 듯이, 법정사 항일운동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한말 의병투쟁, 조천 만세시위, 사회운동 등에 대한 연구성 과는 논문 몇 편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들 운동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제주의 항일운동 연구를 보면, 특정 사건 에 연구가 집중되고 다른 운동의 경우 아직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가 부진한 데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사료의 부족을 꼽을 5) 의병 투쟁 연구로는, 김동전, 「1909년 제주의병의 실상과 의의」, 성주5, 고씨종문회총본부, 1995 ; 제주도지편찬위원회, 제주항일독립운동사, 제주도, 1996. 6) 법정사 항일운동 관련 논문으로는 김봉옥, 「법정사 항일운동의 재조명」, 제주도사연구4, 1995; 박 찬식, 「1918년 중문지역의 항일운동」, 제주도99, 1996; 안후상, 「무오년 제주 법정사 항일항쟁 연 구」, 종교학연구15, 1996; 임혜봉, 「제주도 법정사 스님들의 항일투쟁」, 서귀포시5, 1996; 김정 인, 「법정사 항일투쟁의 민족운동사적 위상」, 제주도연구22, 2002; 김창민, 「법정사 항일운동 가담 자와 운동의 성격」, 제주도연구」 22, 2002; 조성윤, 「무오년 제주도의 종교상황과 법정사 항일운동」 , 제주도연구22, 2002; 정긍식, 「법정사 항일운동에 대한 법적 고찰」, 무오년 법정사 항일운동의 항일운동사적 위상 학술심포지엄, 2004; 김광식, 「법정사 항일운동의 재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5, 2005; 함금순, 「1918년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의 성격」, 제주대 석사논문, 2006 7) 3.1운동 관련 연구로는, 김동전, 「제주인의 3.1운동과 그 영향」, 탐라문화16, 1996 8) 해녀 투쟁 연구로는, 후지나가 다케시, 「1932년 제주도 해녀 투쟁」, 4.3장정, 제주4.3연구소, 1990 ;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사업위원회, 해녀항일운동의 역사와 기념, 2007 9) 사회 운동 연구로는 염인호, 「일제하 제주지방의 사회주의 운동의 방향전환과 제주야체이카 사건」,  한국사연구」 70, 1990; 염인호, 「농촌진흥운동기 제주지방의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제주도사연구 , 1991; 박찬식, 「일제하 제주도 민족해방운동 주도세력의 성격」, 제주항쟁. 실천문학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