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page


106page

황상규(黃尙奎, 1890~1931) 아호는 백민(白民)이고 별명이 관운장(關雲長)이었으며, 만주에서는 허택(許鐸).허옥(許鈺)이라는 가명도 썼다. 1890년 4월 19일 밀양도호부 노하동(현 밀양시 내이동) 957번지의 빈농 가정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학업 이력은 불확실하나, 1909년부터 밀양 읍내의 밀흥야학교와 동화학교, 상동면 고명학교의 교사를 역임했다. 1913년 이래로 항일비밀결사 광복단과 대한광복회, 일합사 조직에 연이어 가담해 활동하다 1918년 2월경 후자의 두 조직이 일경의 추적을 받아 와해되기 시작하자 만주로 탈출, 망명하였다. 1919년 2월 길림에서 대한독립의군부 결성에 참여하여 재무를 맡았고, "육탄혈전으로 독립을 완성"할 것을 부르짖은 「대한독립선언서」의 서명자 중 1인이 되었다. 동년 4월 의군부가 조선독립군정사로 개편될 때 재무국 회게과장이 되었으며, 남경에서 올라온 처조카 김원봉으로 하여금 유하현 고산자의 신흥무관학교에 입학하여 동지를 규합해오게끔 지도하고, 장차 맹렬한 항일활동을 전개해 갈 청년결사대 조직을 추진하였다. 그런 '산파'적 노력의 결과로 11월 10일 의열단이 조직되니 단장 추대를 고사하고 고문 역할만 맡았으며, 12월에는 대한군정서 길림분서(통칭 길림군정서)의 재무부장이 되어 군자금 조달에도 힘을 보탰다. 국내 적기관을 일제히 공격하려는 의열단의 제1차 거사계획에 호응하여 1920년 3월 서울로 몰래 들어와 은신 대기하면서 역시 밀입국한 부단장 곽재기 등의 거사준비를 지도하였다. 그러나 폭탄 16개 등 무기까지 밀입국한 부단장 곽재기 등의 거사준비를 지도하였다. 그러나 폭탄 16개 등 무기까지 밀반입되어 것 결행만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밀고로 인해 다른 여러 단원들과 함께 6월 하순에 경찰에 붙잡혀갔고, 모진 고문에도 일체의 자백을 거부하고 1921년 6월 경성지법에서 징역 7년형을 언도받아 옥고를 겪었다. 1926년 출옥하고 이듬해 신간회 밀양지회가 설립될 때 지회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하다 1929년 6월 서울에서 개최된 복대표대회에서 신간회 중앙집행위원회 서기장으로 선출되니 본부 서무부장을 겸임하여 활약하였다. 광주학생운동이 발발하자 현지로 내려가 조사활동도 폈으나, 옥중에서 얻은 질병이 도진 탓에 귀향하여 병석에 누웠다가 2년 만인 1931년 9월 2일 영면 별세하였다. 수십 개 사회단체 공동주관의 사회장이 거행되고 수만 명 조문객이 애도했으리만큼 독립지사들의 정신적 지주로 여겨졌던 그는 조국의 광복과 독립을 위해 몸과 마음을 다 바친 이로서 밀양의 진정한 스승이었다. 이에 정부는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