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page

113 해제 오후 2시 8호 감방에서 대한독립만세 소리를 신호로 감방에서 감방으로 만세소리가 이어졌 다. 서대문감옥에 1년 넘게 투옥되었던 어윤희는 특별사면령 105 에 의해 1920년 4월 28일에 석방되었다. 106 심영식은 맹인여성으로 호수돈여학교 기예과를 졸업하였다. 1919년 3월 3일 송도면에서 호수돈여학교 학생들과 군중의 선두에서 시위운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1919년 5월 6일 경성 지방법원에서 징역 10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을 합산하여 1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107 (3) 김포군(金浦郡) 김포 지역은 구한말 이래 사회경제적으로 일본의 침탈을 지속적으로 받아오던 지역이었으며 항일의병투쟁과 애국계몽운동이 활발히 전개된 지역이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김포 지역에서도 3·1운동이 전개되었다. 김포군의 3·1운동은 108 월곶면 군하리(月串面 郡下里), 양촌면 양곡리(陽村面 陽谷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외에도 고촌면 신곡리(高村面 新谷里)와 양동면 양화리에서도 시위가 전개되었다. 3월 22일 월곶면 군하리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군하리의 만세운동은 박용희(朴容羲)·백일환(白日煥)·성태영(成太永)·이살눔(李살눔)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즉 월곶면 군하리의 만세운동은 박용희가 성태영·이병린(李炳麟)에게 독립운동을 권유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런데 또 다른 기록에는 이경덕(이살눔)이 박용희·성태영·윤종근·조남윤·최복석에게 비밀리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만세운동을 준비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월곶면 군하리의 만세운동은 누가 운동을 105 일본정부는 1920년 4월 28일 왕세자 영친왕 이은과 일본왕실 이본궁방자의 결혼에 맞추어 약 5천명의 한국정치범에 대한 사면령을 발표하였다.(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37 ; 독립군자금모집⑥, 대한독립의군부 군자금모집사건, 1999, 3-42쪽 ; 『조선총독부관보』 1920.4.28) 106 「판결문」(경성지방법원, 1919.4.11)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운동사』 10,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9, 832쪽 ; 독립 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 1972, 515·516쪽 ; 『독립운동사자료집』 13, 1984, 127쪽. 107 「판결문」(경성지방법원, 1919.5.6)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9,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9, 223쪽 ; 독립 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2, 518~523쪽. 10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2,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9, 153~156쪽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1972, 315~326쪽 ; 김포군사편찬위원회, 『김포군지』, 김포군, 1993, 238~239쪽 ; 김정인·이정은, 『국내 3·1운동Ⅰ- 중부·북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40~42쪽 ; 조성운, 「김포지역 3ㆍ1운동의 역사적 의의 : 김포지역사적 관점에서」, 『숭실사학』 2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