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page

1 부 경기도 지역 3·1운동의 연구 동향과 과제 39 으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기독교, 천도교 등 특정 종교의 3·1운동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천주교 등 보다 다양한 종교, 인물, 단체들의 3·1운동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특히 불교의 3·1운동 당시 동향에 관해서는 용주사의 역 할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주지인 강대련이 주목 된다. 그에 대하여는 한동민의 「근대 불교계와 용주사 주지 강대련」(『경기사학』6, 2002) 이 주목된다. 셋째, 각 지역의 3·1운동은 인근 지역과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화 성, 수원, 오산, 안성의 경우 하나의 운동권으로 파악할 수 있을 듯하다. 용인의 경우도 안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따라서 지역별 상호관계에 주목해야 할 듯하다. 이와 관련하여 장시의 경우에도 깊은 관심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용인의 경우, 읍내장, 백암장 등이, 화성의 경우 사강장, 발안장 등이, 오산의 경 우 오산장 등이 만세운동과 관련을 맺고 있다. 아울러 시장을 여는 장꾼들의 움 직임과 이동은 타 지역으로 만세운동을 전파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으 로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장시에 대한 연구는 3·1운동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의 것이기는 하나 수원지역에 대한 연구로는 이정일의 「조선후 기 수원지역의 장시연구」(『경기사학』6, 2002)가 도움을 준다. 아울러 경기도지역의 3·1운동사 연구는 다음의 점들에 유념하였으면 한다. 첫째, 3·1운동 유적지 실태조사를 통한 연구의 기초 토양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고 생각된다. 경기도 지역의 경우 수도권으로서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따 라서 3·1운동 유적지 또한 계속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3·1운 동 유적지에 대한 체계적 조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형편이다. 회성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