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page

38 한권으로 읽는 경기도의 3·1운동 병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용인지역에서 처음으로 만세운동이 전개된 원삼면 지역의 3·1운동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발발 배경 등 에 대한 연구 또한 요청된다. 아울러 용인지역의 원삼면이 금광 및 사금으로 유 명한 점 역시 이 분야 연구의 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의 연구성과로 김명섭(『한국사가 기억해야 할 용인의 근대 역사인물』, 노 스보스, 2015) 의 단행본이 주목된다. 김명섭은 이 책에서 3·1운동과 관련하여 이 덕균에 주목하고 있다. 기타 그밖에 경기도 지역의 3·1운동에 대한 연구로는 김용달의 포천지역, 김승태의 고 양지역, 황민호의 광주지역, 조성운의 김포지역 논고들이 주목된다. 김용달, 「경기도 포천지역 3·1운동의 전개와 성격」, 『한국근현대사연구』32, 한국근현대사학회, 2005. 김승태, 「일제의 기록을 통해서 본 경기도 고양 지역의 3·1독립운동」, 『한국기독교와 역사』 40, 한국기독교역사 연구소, 2014. 황민호, 「경기도 광주군지역의 3·1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72,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조성운, 김포지역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김포지역사적 관점에서」, 『숭실사학』22, 숭실사학회, 2009 결어: 3·1운동 연구 방향 지금까지 경기도 일부 지역의 3·1운동 연구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 하여 몇 가지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경기도 일부지역 특히 화성지역의 3·1운동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외에 수원, 안성, 강화 등지의 연구는 시작단계로 보이며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