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2page

3 부 판결문을 통해 본 경기지역 3·1운동 371 구소, 2014. 황민호, 「경기도 광주군지역의 3·1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72,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조성운, 김포지역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김포지역사적 관점에서」, 『숭실사학』22, 숭실사학회, 2009 「騷擾事件ニ關スル件報告」(秘第244號 京畿道長官 → 政務總監, 1919.4.2.) 제2장 홍석창, 『수원지방 3·1운동사』, 왕도출판사, 1981. 김선진, 『일제의 학살만행을 고발한다』, 미래출판사, 1983. 이정은, 「화성군 우정면 장안면 3·1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9, 독립기념관, 1995.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특집 3·1운동과 제암리사건」, 『한국기독교와 역사』7, 1997. 성주현, 「수원지역의 3·1운동과 제암리학살사건에 대한 재조명」, 『수원문화사연구』4, 수원문화사연구회, 2001. 화성군사편찬위원회, 『화성군사』, 1990 酒井政之助, 『水原』, 1923 매일신보 1919년 4월 23일자 <수원이재민의 참상> 경기도사편찬위원회, 『경기도항일독립운동사』, 1995 정병욱, 「일제의 식민정책과 경기도」,『경기도 역사와 문화』, 경기도사편찬위원회, 1997 洪士億(1908년생, 송산면 쌍정 1리 거주, 일제당시 300두락의 지주)과 2001년 2월 26일 자택에서 가진 면담에 서 청취. 최홍규, 「경기지역 동학과 동학농민군의 활동」, 『조선시대지방사연구』, 일조각, 2001 『천도교회월보』8호, 1911년 3월, 「중앙총부휘보」48 이제재, 「남양군의 사회와 교육」, 『화성의 얼』3, 1998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22권 3·1운동 12, 1996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21권 3·1운동 11, 1996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 동아일보 1920년 5월 15일자 강진갑, 「경기도 1910년대 운동과 3·1운동」, 『경기도 역사와 문화』 『수원근현대사 증언 자료집』이정근의 손자 이신재 면담기 이덕주, 「3·1운동과 제암리사건」, 『한국기독교와 역사』7,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7 『송산면 지명조사표』(송산면 면사무소 소장) 조성운, 「일제하 수원지역 천도교의 성장과 민족운동」, 『경기사론』4, 2001 강덕상편, 『현대사자료』 26 「수원군 송산면 지방에 있어서의 소요사건 복명서」, 1919년 4월 25일 참조(박성수, 『독립운동사연구』, 창작과 비 평사, 1980, 320 재인용). 동아일보 1920년 5월 15일자 <수원사건 공소공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