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page

24 한권으로 읽는 경기도의 3·1운동 희생자수를 23명으로 한정하고 있어 일제의 사실왜곡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고 지적하고 있다. 씨는 논고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사건의 희생자는 그동안 알려진 것처럼 23명이 아니라 37명으로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제암리사건의 희생자 수는 1959년 4월 순국기념탑이 건립되 면서 23명이 희생된 것으로 공식화되고 있다. 그러나 제암리사건에서 희생된 사람은 이보다 훨씬 많은 37명으로 보아야 한다. 당시 사건을 목격하고 증언한 기록은 희생자의 수를 37명으로 확인하고 있다. 그리고 주서울 미총영사 홀쯔 버그의 두 보고서는 매우 중요한 점을 시사하고 있다. 처음 4월 23일 보고한 내 용과 이어 다시 보고한 5월 12일자에서도 역시 희생자는 37명으로 기독교 12 명, 천도교 25명으로 확인하고 있다. 또한 일제측인 총독부도 희생자가 37명임 을 스스로 밝히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보아 제암리에서 희생된 사람은 23명이 아니라 37명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사실은 해방 이후 순국 기념관이 건립되면서 23명으로 축소되었다. 이와 같은 23명의 희생자수는 일 제의 축소 보고한 기록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과정에서 많은 의문점이 없지 않지만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 당시 제암리 마을의 증언자들 도 하나같이 천도교인 25명, 기독교인 12명으로 37명이 희생되었다고 증언하 고 있다. 또한 희생자 중 초기에 기록된 사람이 누락되는가 하면 초기에 없던 사람이 나중에 포함되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앞으로 본고를 계기로 하여 제암 리사건에 대한 사건 경위를 비롯하여 희생자 수, 명단, 종교상황 등을 구체적 으로 조명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