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page

172 한권으로 읽는 경기도의 3·1운동 이처럼 용인지역에서는 특히 3월말 4월초에 걸쳐 활발히 만세운동이 전개 되었다. 이에 학계에서도 용인지역의 3·1운동에 주목하여 그 전체상이 밝혀지게 되었다. 특히 이상일은 권종목, 홍종욱, 이덕균, 정규복 등 포곡면, 수지면 등의 만세운동가들의 수형카드를 발굴하여 이 지역 만세운동의 실상을 밝히는 데 크 게 기여하였다. 이에 필자는 용인지역 3·1운동에 대한 전체적인 연구를 바탕으 로 이 지역에서 가장 먼저 전개된 원삼면지역의 3·1운동을 중심으로 여러 지역 의 3·1운동에 대하여 좀더 집중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필자가 원삼면지역에 보다 관심을 기울이고자 하는 것은 이곳이 용인지역 에서 최초로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곳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를 통하여 용인지역 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난 배경 등 전체상을 살펴볼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 다. 이를 위하여 우선 원삼면지역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난 배경으로서 용인지역 의 특성과 더불어 원삼면지역의 특성에 대하여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원삼 면지역의 의병운동의 배경, 특히 1910년 일제의 한국강점 이후 이 지역에서 전 개된 금광개발, 사금광개발 등에도 주목하고자 한다. 금광의 개발이 이 지역 주 민들에게 특히 중요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둘째는 원삼지역의 3·1운동의 전개와 주동인물들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이 부분과 관련하여서는 재판기록을 참조하고자 한다. 아울러 보다 생생한 운동사를 복원하기 위하여 당시의 증언을 토대로 작성된 기록들을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이는 문헌자료에서 밝힐 수 없는 여러 내용들을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내사면, 외사면, 남사면, 포곡 면, 수지면, 기흥면 등 여러 지역의 3·1운동에 대하여도 전반적인 검토를 추진하 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