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page

러한 투쟁은 고럽분산적이고 산발적인 진행이라는 취약점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투쟁의 경험을 통해 경기도 지방의 반일 민족운동의 총역량을 결집시쳐 3· 1운동을 분출시키는 원 동력이되었다. 제2장 3 · 1운동의 발발 제1절 3· 1운동 직전 국내외 동향 제1차 대전 중에 국제 정세의 큰 변화가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러시아 혁명이었다. 러 · 일 전쟁 패전 직후 사회적 불안이 고조되어가던 러시아는 1차대전으로 경제적 불황이 겹치자 각지에서 폭동이 발발하였다. 1917년 식량과 연료 부족으로 동요하던 도시 노동자들이 대 규모 파업을 일으키고 폭동을 일으킴으로써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졌다. 여기에 군대까 지 노동자 편에 합세함으로써 마침내 제정 러시아는 붕괴되고 사회주의 정권이 수립되었다.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과 식민지화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윌슨의 민족자결 주의 제창, 그 뒤를 이은 국제연맹의 창설 등 일련의 국제 정세 변동은 아시아 약소민족 해 방운동을 불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일제의 강압으」료 주권을 상설한 한국은 이와 같은 국 제 정세 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즉, 동경에 유학 중이던 학생들이 2· 8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이 운동이 국내에 확산되어 3· 1운동이 일어났다. 그리고 이 3· 1운동이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컴으로서 열강의 식민지로 전락되었던 약소 민족에게 영향을 주어 약 소민족 해방운동을 일으키도록 하였다. 민족자결주의의 제창은 제1차 세계대전의 종식을 전후하여 세계평화를 위한 신사조로서 널리 퍼져 나갔으며, 우리 민족의 독립운동을 촉진하 는데 일정한역할을하였다. 3 · 1운동의 준비 및 추진단계는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된다. 제1단계는 준비기, 제2단계는 전국적 파급기, 제3단계는 절정기, 제4단계는 다른 민족운동으로의 전환기이다. 3 · 1운동 을 지도층 문제와 연결할 때 제1 -2단계에서의 지도층 역할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들 이 곧 3 · 1운동 산고의 담당자이기 때문이다. 3 · 1운동의 준비는 일본 · 마주 · 만주 · 상해 등 국외 지당}들과 국내의 기독교 · 천도교 지도자 및 학생층에서 비슷한 시기에 각기 준비 되고 있다가 하나로 통합되어 한민족의 일치단결된 3 · 1민족독립운동으로 추진펼 수 있었 다. 26 | 연구조사보고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