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page

그러나 국채보상운동이 비록 실패하기는 하였으나 이 운동을 통해 항일 국권회복에 대한 전국민의 기대와 열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항일정신은 식민지로 전락한 1910년 이후에도그대로살아남아민족해방운동으로수렴 계승되어갔다. (4) 안산지역의 정마의병 1) 의병의활동 1904년 2월 러 일전쟁 이후 일제가 노골적으로 드러낸 잇따른 침략과정은 전국에서 의병운 동을 고양시키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경기지방은 지리적으로 정치 · 사회 · 경제의 중 심인 서울을 둘려싸고 있는 탓에 정치적 변화를 가장 빨리 접할 수 있어 어느 곳보다 배일 (排日) 사상과 기운이 높은 지역이었다. 이런 이유로 경기지방에서는 어느 지방보다도 일찍 부터 의병운동이 얼어났으며, 1904-1911년까지 경기 지방에서 활동한 의병부대도 432개 에 달할 만큼 전국 의명운동에서 경기 지방 의병운동이 차지하는 위상은 대단히 괄목할 만 하다. ‘을사조약’으로조션의 외교권을박탈한 일제는 이후군대를해산하고 일본헌병이 한 국 경찰권을 접수하였으며, 사법권과 감옥사무를 박탈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신문지법, 보 얀법, 출판법 등 각종 탄압법을 제정하여 식민지 지배를 위한 법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처 럼 국권침탈이 가중되자 민족적 위기를 타개하고 국권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국권회복운동은 당시 국가의존럽과 관계된 민족운동이었던 만큼 지역과 계층을 망라한거국적인 반일운동이었다. 그가운데 하나가 앞서 살펴본학교설립을통한교육계몽 운동이었다면, 국권회복운동의 또 하나의 주류를 이루었던 것이 의병운동이었다. 의병들의 희생은 비록 식민지화를 저지하지는 못했지만, 일제가 식민지 지배정책을 수행하는 데 상당 한 타격을 주었다. 의병운동이 본격화되는 계기는 1907년 8월 군대해산이 었다. 일제의 군대 해산 조치가 발표되자 이를 거부한 많은 조선 군인들이 의병에 가담함으호써 의병운동은 전 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그리하여 1907년 8월 군대해산 이후 1909년 9월 남한대토별 직전까 지 의병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해산당한 군언들이 의병대열에 동참하면서 의병 진의 병력은강화되었고,소규모유격전을구사하는의병 활동이 전개되었다. 안산군에서는 1907년 10월 11일 안산군(安山那) 북방면(北方面) 속달리(速達里)에서 경 찰대는 그곳 수비대와 함께 의병 19명을 공격하여 적 5명을 죽이고 총기 탄약 19점을 노획 43) 『일본외교문서』 제41권, 780∼787쪽. | 안산지역의 독립푼흉 I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