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page

기고 신제조업, 무너진 제조업 살리는 해결책 “지난 수년간 신제조업에 대한 대응이 늦어 지면서 국내 제조업 경쟁력이 통째로 무너질 위기에 처해 있다. 제조업의 위기는 고용 문제 가 심각해지는 것은 물론 국가 경쟁력까지 떨 어져 국민 삶의 질까지 하락할 수 있다.”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는 무너진 제조업을 살리는 해결책으로 ‘신제조업’을 제시했다. 신 제조업에 국내 기업이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 업의 총체적인 변화는 물론 협력 기업과의 관 계 변화, 사람들 간의 소통에 있어 범국민적 변화의 필요성을 인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한 국인더스트리4.0협회는 신제조업이라는 신 조어를 바탕으로 현재의 변화를 개념화하고 실천에 옮길 방법을 논하려 한다. 신제조업이란? 신제조업은 현재 자동화 중심의 제조업을 스 마트화한 제조업으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 터넷과 연결하여 사업 방식을 바꾸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지닌다. 단순히 제품만 공급 하던 제조업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제품 공 급이 이뤄지는 ‘서비스 주도 제조업’으로 바뀌 고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이뤄지던 비즈니스 활동이 인터넷으로 옮겨지는 ‘인터넷 비즈니 스 주도’로 바뀌는 것이다. 이러한 신제조업을 제품 공급 기업 차원에서 설명해 보면 공급 기업은 ‘성공적 사용 경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경 쟁력을 갖추려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제 품의 생산 방식을 혁명적으로 바꾸어 고객이 만족하는 품질의 제품을 경쟁력 있는 원가로 생산하면서, 고객 서비스 제공에 적합한 고객 맞춤형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고 객과 긴밀히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고객의 요 구 사항과 피드백을 전달 받아 이에 맞는 서 비스와 제품을 신속하고 유연하게 공급하는 기업이 경쟁에서 살아남게 된다. 기업은 인터 넷상으로 제품 설계, 주문, 생산, 배송, 고객 사용 과정 관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혹은 제품 설계, 생산, 배송, 고객 사용 과정 관리에 서 다른 기업과 인터넷상으로 협업 관계를 통 해 인터넷 비즈니스 거래 관계를 만들어 가게 된다. 신제조 대응 뒤쳐진 대한민국, 다른 제조 강국은? 독일의 ‘인더스트리4.0’은 신제조업의 공장 과 관련된 모습에 초점을 두어 자동화 중심 의 제조업을 스마트화하는 제조업으로, 데이 터가 인터넷과 연결되어 실시간 분석과 대응 이 스마트하게 이뤄진다. 실물을 사이버공간 에 구현하는 가상 현실(virtual-reality)이 실 시간 공장 상황을 보여주는 사이버-실물 연 결 기술(CPS: Cyber Physical System)을 이 용하여 제조 공장이 실시간 개별 요구사항에 부응하여 반응한다. 이러한 공장은 서비스 주 도 제조업, 인터넷 비즈니스 주도 제조업의 공장과 관련된 모습에 초점을 두고 있다. 반 면 미국의 ‘산업 인터넷 비즈니스’는 신제조업 의 공장과 고객과 연결되는 모습에 초점이 맞 춰져 있어 실시간 개별 요구사항에 대한 서비 스 제공, 인터넷에 의존한 비즈니스이자 플랫 폼을 매개로 한 산업인터넷 비즈니스로서의 제조업이 강조된다. 한국의 신제조업에 대한 대응은 독일의 인더 스트리4.0 개념 가운데 공장의 스마트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러한 대응은 미국은 물론 중국이 주목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 제조 업화, 플랫폼을 매개로 한 인터넷 비즈니스 제조업화 추진과는 초점이 다르고 대응 속도 도 느리다. 특히 플랫폼을 매개로 한 인터넷 비즈니스 주도 제조업화에 있어서는 온라인 상으로 일정수 이상의 고객 기반을 갖추는 기 업이 유리한 바, 대규모 인구를 갖춘 중국 및 인도, 영어권 국가에 비해 1억 명도 안되는 인 구를 상대로 하는 한국 기업은 신제조업에의 대응은 힘겨운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제조업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철강 등 일부 분야를 제외하면 미국, 독일, 일본 등 기 술 선진국과 세계의 공장이 된 중국 및 개발 도상국 사이에 끼어 샌드위치가 된 형국이다. 그에 따라 경쟁력이 약화하고 있고 고용 문제 도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려면 최근 제조 혁명으로 인 해 등장한 ‘신제조업’으로의 전환이 필수다. 하지만 신제조업으로의 전환은 단위 기업 차 원의 대응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 제조 기업의 총체적인 변화와 함께 파트너십에도 변화가 요구된다. 게다가 제조 환경을 결정 하는 국민의 소통 방식의 변화도 필요하다. 국가의 전폭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은 두말할 것도 없다. 자동차 산업이 실현하고 있는 신제조업 자동차 산업은 신제조업으로 전환이 가시화 된 제조업이다. 신제조업으로의 전환 가운데 서비스 주도 제조업으로 전환되고 있는 산업 인지를 보려면 해당 산업이 물건 대신 서비스 제공 개념이 있는지 보면 된다. 자동차 산업 기고 | 임채성(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명예 회장/건국대학교 교수) | 편집 | 김란영 MFG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