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page

- 부접불기(附權不記) : 주된 음식에 붙이는 조미료(설탕.초장.소 금.겨자 등)는 따로 기 록하지 않았다. • 합리적인 기구배설과 진설법의 예시 전항의 진설각설을 정리해 현대감각에 맞는 통일된 진설법의 정립이 요구된다. 그러려면 먼저 문제점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1) 합설과 각설 : 고례에는 考批各設(고비각설)이었으나 현대는 모두 考批合設(고비합설)을 한다. 그러려면 무엇을 따로 차리고 어떤 것 을 함께 담을 것인가를 정한다. - 각설(各設) : 산 사람도 따로 담아서 먹는 메(밥) .갱(국) .술. 국수 (따라서 떡) 숭늄은 따로 담아야 할 것이다. - 합설(合設) : 반찬과 과실은 한 접시에 담고 수저도 원著居中(시 저거중)의 원칙을 지켜 한 시접에 신위수대로 시저를 담아 신위 앞 의 중앙에 놓는다. 2) 두미의 방향(頭尾方向) : 동두서미(東頭西尾)나 서두동미(西頭東 尾)로 놓는 것을 두고 말썽이 많으나 될 수 있으면 머리가 上(상)이 니 東(동)으로 놓는 것이 무방할 것이다. 3) 배복의 방향(背頭方向) : 계적. 어적. 조기젓. 생선포 등 등과 배가 있는 제수는 등이 바깥(위)쪽 배가 안(아래)쪽이 되게 담는 것이 순 리일 것이다. 바르게 놓는 것(계적. 생선포)은 등이 위로, 뉘어 놓는 것(어적. 조기젓)은 배가 신위 쪽으로 가게 담는다. 4) 과실의 위치(果實位置) : 고례에는 어떤 예서에도 과실별 위치가 명 시되지 않았는데 이유는 계절과 지방에 따라 과실이 다르기 때문이 다. 그러나 현대는 그렇지 않으므로 정해도 무방할 것이다. 1부 제의례 I 33
35page

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