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page

제 3 강 _ 철도의 개통과 근대 삶의 변화 경부선, 수인선, 수여선 이야기 | 57 수여선의 부설은 경기도 내륙의 곡창지대와 경부철도를 연결하여 미곡의 반출을 원활 히 하고 일본 사람들의 진출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었다 . 물론 지역 주민의 교통 편의 를 제공하려는 순기능도 고려됐겠지만 , 경동 철도의 자본과 경영이 철저하게 일본이 위주 였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주 목적은 일본 자본의 내륙 진출과 미곡의 반출이었다 . 34 ) 33 ) 『조선총독부관보』 1177 호 ( 1930 . 12 . 4 ) 와 1476 호 ( 1931 . 11 . 27 ), 《동아일보》 1930 년 11 월 30 일 , 1931 년 11 월 27 일 , 견 수찬 앞의 논문 , 917 쪽 참조 . 34 ) 견수찬 , 앞의 논문 , 918 쪽 . 수원-이천-여주간 노선 및 정차장 33 ) 정차장명 구분 연장( km ) 역간거리( km ) 水 原 정차장 本水原 정차장 3 . 0 3 . 0 園 川 정차장 6 . 5 3 . 5 新 葛 정차장 12 . 5 6 . 0 漁 汀 임시정류장 15 . 9 3 . 4 三 街 정차장 21 . 8 5 . 9 龍 仁 정차장 24 . 1 2 . 3 痲 坪 임시정류장 28 . 4 4 . 3 陽 智 정차장 31 . 9 3 . 5 霽 日 임시정류장 35 . 4 3 . 5 午 川 정차장 40 . 0 4 . 6 標 橋 임시정류장 45 . 7 5 . 7 酉 山 정차장 49 . 4 3 . 7 利 川 정차장 53 . 1 3 . 7 茂 村 임시정류장 57 . 6 4 . 5 梅 柳 정차장 64 . 4 6 . 8 神 垈 임시정류장 69 . 7 5 . 3 驪 州 정차장 73 . 4 3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