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page

38 수원박물관 제 16 기 박물관 대학 근대 수원과 수원사람들 조로 눈썹지붕을 만들고 기와를 얹은 작은 차양을 설치하였다 . 상 · 하층의 창문은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태를 하였고 돌출시켜 입체적으로 구성하였다 . 돌출된 상 · 하인방 및 좌우 샘틀은 철근콘크리트조로 만들어 벽체와 구분하였다 . 특히 1 층 정면의 창호에는 꽃봉오 리 모양의 장식을 만들어 정면성을 강조하였고 , 2 층 창호에는 상 · 하면에 수평 돌림띠를 돌려 장식하였다 . 규모는 작지만 장식적 요소가 많고 건축기법이 우수한 건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 수원향교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 1 호 ) 수원향교는 원래 고려시대인 1291 년 ( 충렬왕 17 ) 에 수원의 옛 중심지였던 화성시 봉담 읍 와우리 화산 앞에 건립되었다 . 현재의 위치인 팔달산 아래로 옮겨오게 된 것은 조선 후 기 정조 대의 일이다 . 정조는 1789 년 ( 정조 13 )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화산으로 천봉 하면서 , 그곳에 형성되었던 수원의 기존 읍치를 팔달산 아래로 이전시켰다 . 이에 더하여 성곽 화성을 축성하여 새로운 신도시의 건설계획을 추진하였는데 , 이때 수원향교도 신도 시 건설계획의 일환으로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 향교는 조선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이며 , 아울러 유학의 성현을 기리는 종교적인 색채도 지니고 있었다 . 수원향교는 1983 년 9 월 19 일에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 1 호로 지정되었는 데 , 향교 건축으로서 규모와 형식이 완전히 갖추어져 있다 . 향교 앞에는 하마비 ( 下馬碑 ) 가 있고 , 나무로 세워진 홍살문이 있으며 외삼문 ( 外三門 ), 명륜당 ( 明倫堂 ), 내삼문 ( 內三門 ), 동무 ( 東 廡 ), 서무 ( 西 廡 ), 대성전 ( 大成展 ) 등의 건물이 있다 . 배치는 향교의 가장 전형적인 전학후묘 ( 前學後廟 ) 형식으로서 앞에 명륜당을 배치하고 , 뒤에 대성전을 배치하였다 . 전 면의 외삼문에서부터 맨 뒤의 대성전 쪽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하여 공간의 위계 ( 位階 ) 를 점증시켰다 . 성현들의 위패를 봉안하는 곳이 대성전이고 , 유생 ( 儒生 ) 들이 공부하던 곳이 명륜당이다 . 수원향교에 모셔진 성현 ( 聖賢 ) 의 위패는 공자 , 맹자를 비롯한 오성과 송조 2 현 그리고 한국 18 현 등 모두 25 위이다 . 여기에 모셔진 유현들의 학문과 인격을 배우고자 하는 의미 에서 지금도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분향을 봉행하고 , 매년 음력 2 월 , 8 월에는 봄 · 가을 석전대제를 지내고 있다 . 향교 내에 있는 공자상은 2003 년에 수원시와 자매결연을 맺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