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2page

230 민주장정 100년, 광주·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한편, 동생 김율은 호가 靑峰이었는데, 형과 마찬가지로 뚜렷한 師承關係는 찾을 수 없으나 문필에 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측은 그를 省齋 奇參衍(1851-1908)의 門人으로 파악하였다. 기삼연 은 1896년 장성의병에 적극 참여한 바 있으며, 1907년 10월에는 호남창의회맹소의 결성을 주도한 인 물이었다. 이처럼 김준과 김율 형제가 처음 의병에 투신할 때 호남창의회맹소에 가담한 점으로 보아 이들이 기삼연과 학문적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이들은 노사 기정진 계열의 유생으로 성리학에도 비교적 조예가 깊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외에도 나주출신의 의병장으로는 權澤, 盧炳友, 羅聖化, 李起巽, 趙正仁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권택(1885-1910)은 “벼슬을 한 적이 없고 爵位榮典도 없음. 경서에 능통하며 담력이 커 사람을 다스 릴 줄 알았다” 143) 고 한다. 그는 최익현의 제자로 김율, 심남일, 조경환, 박민홍이 이끄는 의병부대에서 부장, 모사장, 참모장 등으로 활동하다가 독자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144) 나성화(1881-1910)는 심남일 의병부대의 후군장이었다가 박민홍 의병부대에서 활동하다가 독립 하였으며, 노병우는 심남일 의병부대의 후군장이었다가 독자적으로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145) 이기손 (1877-1957)은 현재는 광주광역시로 포함된 본양면 출신으로 기정진 계열의 유생으로 호가 錦齋였 다. 그는 중군 양동환, 선봉 엄석운, 후군 오용근 등과 같이 의병활동을 전개하다가 9월에 실시된 일 제의 이른바 ‘남한폭도대토벌작전’에서 천신만고 끝에 살아남아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하 였다. 그후 귀국하여 전북 금산에 은거하여 高宗을 위한 사우를 세우는 등 근왕적 성향을 고수한 인물 이다. 146) 그리고 조정인(1872-1909)은 1908년을 전후한 시기에 김태원 의병부대에서 독립하여 활동 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나주의 유생 및 향리 출신 의병장들은 대체로 김태원 김율 형제 의병장 및 심남일 의병장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이들이 크게 보아 호남창의회맹소의 일원이었음을 의 미할 것이다. 김태원 의병장이 호남창의회맹소의 선봉장이었다가 독립하였으며, 심남일 의병장은 김 율 의병부대에서 활동하다가 독립한 점에서 그러하다. 따라서 유생 및 향리 출신 의병장들은 서로 유 기적 관계를 지속하면서 의병활동을 전개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나주의 여러 향리 가문 중에서 밀양 박씨만이 1896년 나주의병에 이어 그 10년 후에도 의병항쟁을 주도하게 되었는지는 잘 알 수 없다. 그런데 나주의병들은 대체로 심남일 의병부대에서 활약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마도 심남일이 김율 의병부대에서 활동하였고, 심남일이 함평출신으로서 나주-강진을 축으로 하는 전라남도 남부지역에 서 활동한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147) 또한 심남일 의병부대는 김태원·김율 의병부대의 활동목 표와 내용을 거의 그대로 계승하여 의병항쟁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점 역시 권택 박민홍 박사화 노병 143) 위의 책, 138쪽. 144) 『독운사』 1, 789-790쪽. 145) 홍영기, 『대한제국기 호남의병 연구』, 301쪽. 146) 위의 책, 92·480쪽. 147) 위의 책, 317-31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