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page

16 민주장정 100년, 광주·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호남 지역의 의병항쟁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한 것으로써 의병항쟁의 경제적 배경·의병부대의 주도층·투쟁형태·조직체계·의병 참가층의 신분과 직업·연령 그리고 사상적 기반 등을 밝히는 성과를 거두었다. 26) 넷째, 광주-전남의 의병항쟁의 시기별 추이와 권역별 전개과정, 그리고 그에 대한 일제의 대응책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항쟁과 탄압’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조명한 연구도 있다. 27) 최근에는 일제 군경의 탄압 실상이나 의병의 전략과 전술을 조명하는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28) 이에 이 글에서는 의병항쟁의 학문적 기반과 창의 이념을 먼저 다루고자 한다. 다음으로 1896년 초 장성과 나주에서 일어난 전기의병을 시작으로 1906-1907년 전반 태인과 화순에 봉기한 중기의병을 검토할 것이다. 이어 1907년 후반부터 시작된 후기의병의 주무대였던 광주-전남의 의병항쟁을 세 개의 권역, 즉 서부-중부-동부 지역으로 나누어 서술하고자 한다. 그리고 일제의 의병탄압의 실상을 밝히고자 한다. 그런데 동학농민혁명과 한말 의병항쟁은 별 개의 사건으로 인식해오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사회운동사적 흐름과 민주적 관점에 의거하여 민중의 성장, 정의를 위한 활동, 일제 군경의 반인권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아다시피 동학농민혁명과 의병항쟁은 채 1년을 넘지 않은 시간적 간극을 두고 거의 동시에 발생하였다. 더욱이 제2차 동학농민혁명과 전기의병이 일어난 배경도 거의 비슷하다. 그러한 점에서도 이 두 사건은 불가분의 연관성이 있으므로 역사적 맥락을 함께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글이 객관적인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개설서가 되기를 기대한다. 가르침을 바란다. 26) 홍순권, 『한말 호남지역 의병운동사 연구』(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27) 홍영기, 『대한제국기 호남의병 연구』(일조각, 2004). 28) 광주-전남지역 의병의 탄압과 관련된 주요 연구는 다음과 같다. 신주백, 「호남의병에 대한 일본 군 헌병 경찰의 탄압작 전」, 『역사교육』 87(2003). 김상기, 「‘제14연대 진중일지’를 통해 본 일본군의 의병탄압」,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4(한 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3). 홍순권, 「한말 일본군의 의병 진압과 의병 전술의 변화 과정」, 위의 책 45(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