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page

한말의병 165 2-2) 나주의병의 활동과 정부의 대응 나주의병은 1896년 음력 2월초부터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장성으로 보낸 답통의 말미에 連書한 100여 명의 양반유생과 향리층을 중심으로 의병활동에 나선 것이다. 나주의병의 주된 활동으로는 먼저 개화파 관리의 처단을 들 수 있다. 초9일 새벽에 해남 현감(군수 ; 필자주) 정석진이 부임 길을 떠나면서 본 향교에 들려 선생께 참배하 고 (중략) 곧 길을 떠났다. 그래서 수성하는 군교들도 모두 전송차 밖에 나갔다. 이날 오전 10시 경 에 校僕이 밖으로부터 바삐 들어와 아뢰기를, “성 안에서 큰 소동이 일어나 고을 아전과 군교 수백 명 이 관사로 들어가서 참서관을 잡아 죽였는데, 朴摠巡·呂巡檢 2사람도 역시 맞아 죽고, 朴視察·卜 主事 등 6사람은 모두 잡혀 갇히곤 하여 광경이 몹시 해괴하다.”고 하였다. 이윽고 金蒼均·張佶翰· 金錫均·昇甲杓가 성중 백성들과 함께 향교로 들어와 날뛰며 서로 돌아보고 하는 말이 “참서관 및 총 순 무리들은 역적의 도당으로서 이제 다 맞아 죽었으니 본 고을의 의병은 처음만 있고 끝이 없어서 는 안된다.”하며 모두 李 注書가 將壇에 올라 지휘하기를 원했다(이병수, 「금성정의록」, 『자료집』 3, 73-74쪽). 즉, 나주의 이족들이 개화파 관료인 참서관 안종수 그리고 박총순 142) ·여순검 143) 을 처단하고, 그 밖에 세무시찰관 朴準成 144) ·세무주사 卜正采 145) 등 6명을 가두었다는 것이다. 146) 참서관 안종수를 비롯한 경찰·세무 관리 등이 개화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함으로써 나주부민의 반발을 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나주의 이족들이 안종수 등의 처단에 적극 개입한 사실로 보아 개화정책에 가장 불만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다른 지역의 의병들도 개화파 관리들을 처단한 경우가 상당히 많았던 점 147) 에 비추어 나주의병의 反開化活動이 이 지역의 독특한 현상은 아니었다. 다만, 나주의 경우에는 향리층이 개화파 관료의 처단에 앞장섰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런데 나주의병이 개화파 관리를 처단하게 된 직접적 계기는 단발령에서 찾아진다. 개화파 정권에 의해 단발령이 공포되자 나주에서는 참서관 안종수가 중심이 되어 단발을 강요하였다. 따라서 나주의병의 두 번째 활동으로는 단발령에 반대하는 활동을 들 수 있다. 나주참서관 안종수는 자신이 단발을 하고 관찰사 채규상을 위협하여 강제로 머리를 깎게 하였다. 下 142) 박총순은 1895년 6월에 총순에 임명된 朴喜昊일 것이다(『구한국 관보』 1895년 7월 1일자 「敍任及發令」). 143) 여순검의 이름은 呂華善인 듯하다(변상철 변만기, 『봉서 봉남일기』, 277쪽). 144) 박준성은 1895년 9월에 나주부 세무시찰관에 임명되었다(『구한국 관보』 1895년 9월 11일자 「彙報」). 145) 복정채는 1895년 11월에 나주부 세무주사에 임명되었다(『구한국 관보』 1896년 1월 8일자 「敍任」 참조). 146) 신기선 역시 나주의 吏校들이 안종수를 살해한 것으로 보았다(「봉사일기」, 『신기선전집』 하, 300쪽). 그러한 사실 은 「松沙集」(『자료집』 3, 28쪽)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세무시찰관 박준성 등 옥에 갇힌 6명은 음력 2월 15 일 풀려났다(이병수, 「금성정의록」, 『자료집』 3, 77쪽). 147) 황현, 『매천야록』, 19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