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page

142 민주장정 100년, 광주·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일본군 내지 관리로 선발한다는 회유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로써 1907년 8월 1일 한국군은 그 이름조차 역사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고종의 강제퇴위와 정미7조약의 체결, 그리고 전격적으로 단행된 군대해산조치에 반발한 군인들이 전국 각지의 의병부대에 합류하거나 독자적으로 의병을 일으켰다. 그리하여 전국의 산과 들에는 의병의 함성과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였다. 한국의 식민지화를 눈앞에 둔 일제는 의병항쟁이 거세게 타오르자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의병 진압에 나섰다. 그들이 1907년 후반을 기점으로 엄청난 분량의 진압 기록을 남긴 점만 보더라도 그러한 상황을 알 수 있다. 23) 제2절 광주-전남 의병의 거의목표 광 주-전 남 의 병 들 이 무 엇 을 목 표 로 일 어 났 는 가 를 살 피 는 데 에 는 의 병 장 의 檄 文 이 나 廣告文·榜文·告示文 등이 참고된다. 따라서 유생출신이 이끄는 의병부대는 상당한 분량의 논리 정연한 격문류를 남겼으나, 자신들의 의사나 입장을 거의 발표하지 못한 경우도 없지 않다. 특히, 평민출신의 의병장이나 일반 의병들이 그러하였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들이 무엇을 목표로 의병을 일으켰는지에 대해서도 가능한 밝혀보도록 노력하겠다. 이에 광주-전남 의병들이 남긴 격문류를 중심으로 그들의 거의목표를 크게 전기-중기- 후기 의병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그것은 20여 년의 의병항쟁은 反侵略, 즉 反日鬪爭으로 일관하였지만 각 시기마다 약간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기마다 어떠한 내용으로 변화하며, 그것의 계기와 원인 등이 무엇인지 검토하려는 것이다. 1. 勤王志向의 전기의병 호남지방 최초의 전기의병은 日帝에 의해 자행된 明成王后弑害事件과 斷髮令 등 일련의 정치적 상황의 急變에 따라 준비에 들어갔다. 그리하여 1896년 2월 俄館播遷 직후에 의병이 일어나 그해 음력 3월에 終熄되었다. 전라남도 長城에서 시작된 전기의병은 羅州에 영향을 주었고, 광주에 집결하여 北上을 도모했었다. 당시 장성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핵심 인물은 松沙 奇宇萬(1846∼1916)이었다. 24) 그는 蘆沙 奇正鎭(1798∼1879)의 門人, 즉 자신의 同學들과 가문의 도움을 받아 이 지역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25) 또한 그는 나주에서 의병이 일어나는 23) 후기의병의 진압에 관한 일제측의 가장 방대한 자료는 『폭도에 관한 편책』(내부 경무국, 1907-1910 ; 『한국독립운동사』 (이하 독운사) 자료 8-19, 국사편찬위원회, 1979-1990)이며, 『폭도사편집자료』(내부 경무국, 1909 ; 『독립운동사자료 집』 3, 1971)와 『조선폭도토벌지』(조선주차군사령부, 1913 ; 『독립운동사자료집』 3, 1971)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의병 의 판결문을 번역 수록한 『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 1<의병항쟁재판기록>(1974), 『통감부문서』 1-10(국사편찬위원회, 1998-2000), 『전남폭도사』(전라남도 경무과, 1913 ; 『비록 한말전남의병투쟁사』, 이일룡 역, 전남일보인서관, 1977) 등 엄청난 분량의 의병관련 자료들이 남아 있다. 이 글에서는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간략한 서지사항으로 표기하고자 한다. 24) 「松沙集」, 『독립운동사자료집』(이하 자료집)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25) 黃玹, 『梅泉野錄』 권 2(建陽元年 丙申), 198쪽. 한편, 장성에서 일어난 의병에 관해서는 아래의 논문이 참고된다. 糟谷 憲一, 「初期義兵運動について」, 『朝鮮史硏究會論文集』 14(1977). 金湞, 「韓末 全南長城의 義兵抗爭」, 『光州敎大 論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