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page

151 은 본격적인 반일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당시 그것은 크게 두 방향에서 진행되었다. 하나는 장기적인 실력양성운동으로 언론활 동・종교활동・교육활동・학술활동 등을 통한 국민 계몽운동이었고, 다른 하나는 즉각적 인 무력투쟁인 의병운동이었다. 특히 의병운동은 1907년 7월「정미7조약(丁未7條約)」에 따른 군대해산으로 해산군인들이 대거 의병대열에 참여함으로써 전국적인 국민전쟁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방관일은 이 같은 시기에 거의하여 강원도 일대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1907년 11월부터 12월 사이에 이인영(李麟榮)・정대일(鄭大一) 등 의병장과 연합하 여 700여 명 규모의 의병부대를 이끌고 강원도 고모곡(古毛谷)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그는 소위 '의병토벌' 작전을 전개하던 일본군 보병 제 51연대의 판부(坂部)소좌가 지휘하는 보병 1중대, 포병・공병 각 1개 소대와 강원도 고모곡 석실(石室,양평군 양동면 석곡리;편자 주)과 삼산(三山,양평군 양동면 삼산리;편자 주) 부근에서 격전을 벌이는 등 항일 무장투쟁을 벌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出典:『大韓民國 獨立有功者 功勳錄』 第 12卷, 國家報勳處, 1996年, pp.687~688. 註ㆍ明治百年史叢書(金正明) 第1卷 128面 ㆍ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1卷 280・501・715面 ㆍ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3輯 667・714面 (133). 방인관 1. 약전(略傳) 성 명 (異名) 활동 시기 출 신 거주지 생,몰 참고문헌 및 전 거 활동내용 등 서훈및 포 상 * 방인관 方仁寬 정미평안도미상 〔이천독립운 동사 p.198, 여주군사 p.478·503.〕 1907년 8월 창의하여 부하 300여 명을 이끌고 장호원 에서 교전하고, 12월에 이인 영, 정봉준, 이은찬 부대와 합진하여 관서창의대장으로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