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page


290page

박희봉은 경북 상주(尙州) 사람이다. 그는 조선약학교(朝鮮藥學校) 재학 중 1919년 3월 1일 서울 파고다 공원에서 독립선언서의 낭독이 끝난 후 수천 명의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일본 동경(東京)에서 2·8독립선언 이후 국내에서도 만세운동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진행될 때, 그는 조선약학교에 재학하면서 학우들과 함께 3·1운동의 계획에 참여하여, 만세운동 당일에 사용할 태극기 등을 제작하는 한편 동지규합에 힘을 쏟았다. 그는 학우들과 함께 3월 1일 오후 2시 파고다공원에서 거행된 독립선언식에 참가한 뒤, 시가 행진을 전개하였다. 이 때 박희봉은 시위행렬의 선두에 서서 보신각과 남대문 등지를 비롯하여 시내 각처를 행진하면서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그는 이 일로 일경에 붙잡혀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3년을 받았다. 출옥 후 그는 계속적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기로 뜻을 세우고 사회운동에 투신하였다. 3·1운동 직후 일제는 일제의 식민지 통치 방침을 수정하여 소위 문화정치(文化政治)를 표방하면서 외형적이나마 집회·결사의 자유를 허용하였다. 따라서 민족운동세력은 이러한 기회를 이용하여 전국적 조직을 만들어갔는데, 각 지방의 청년회들을 연합한 조선청년회연합회가 그것이었다. 박희봉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초기에 참가하여 1920년 7월 7일 조선청년회연합기성회의 지방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출처 : 보훈처 공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