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page


10page

물언재(勿言齋) 중건기(重建記) 이 물언재(勿言齋)는 아당(啞堂) 박공(朴公) 조(調)의 제각이다. 장차 단지 제사를 모시는 데만 쓸 것인가? 아니다. 기쁜 마음으로 일가들을 모아 조상을 높이고 일가들과 화목하게 지내는 도리를 강구하고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손님들을 대접하여 지난달 조상들끼리 오고가던 정의를 회복할 것이다. 또 집안 자제들이 글을 읽거나 예의를 익히는 장소로도 제공할 것이다. 아당공(啞堂公)은 고려(高麗) 말기 충절(忠節)의 신하인 충숙공(忠肅公) 송은선생(松隱先生) 휘(諱) 익(翊)의 셋째 아들로서 우당(憂堂) 인당(忍堂)의 아우면서 졸당(拙堂)의 형님이다. 야은(冶隱:吉再) 춘정(春亭:卞季良) 독곡(獨谷:成石璘)의 도움을 줄 만한 벗이었다. 부친의 명을 받들어 포은(圃隱) 정선생(鄭先生:夢周)에게 배워 이학(理學)의 참된 도리를 얻어 듣고 정밀하게 연구하여 조예가 깊어 스승의 칭찬을 크게 받았다. 조선 초기에 진사에 올랐고 그 뒤 효성으로 추천되어 예조정랑(禮曹正郞)이 되었다. 공(公)은 평소에 명예나 이익에는 뜻이 없었으므로 벼슬을 그만두고 물러나 산수 자연속에서 숨어지냈다. 오늘날 그 시문(詩文)을 보면 그 바른 학문과 엄격한 처신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문이 전하는 것이 20여편도 되지않아 그 아름다운 말씀과 훌륭한 행실이 세상에 많이 남아 전하지 못하니 애석한 일이다. 재실의 이름을 물언재로 한 것은 공의 아호인 "아"자의 뜻을 풀이한 것이다. 성인 공자가 제자 안연이 인을 실천할 수 있는 항목에 대해서 물은 것에 사물(四物)로써 답하셨다. "예(禮)가 아니면 보지를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를 말고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아라"라는 사물(四物) 가운데서 말하지 않는 것이 가장 어렵다. 그래서 공은 말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시작됐던 것이다. 예가 아닌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있으면 나머지 세가지 하지 말라는 것을 따라서 할 수 있다. 이렇게 실행하여 그치지 않으면 인(仁)의 경지에 가까이 갈 수 있다. 나중에 공(公)의 학행(學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