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2page

3.1.3. 남측벽화(사진 15- 21) 벽화는 보존처리팀에 의해 표면의 진흙을 세척하는 작업 중이었으며, 상부의 운문양 장식과 하부의 담벽이 그려진 안쪽에 말고삐를 잡고 있는 마부가 서로 마주 보게 그 려진 상태이었다 적외선촬영 결과 그림의 세부 묵선을 육안관찰보다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었으며, 촬영결과는 현장에서 인쇄하여 벽화세척 작업동안 참고할 수 있도록 보존처리 담당자 에게 제공하였다 3.1.4. 북동측벽 화(사진 22) 벽화 안쪽은 도굴과정에서 심하게 손상되었고, 진흙으로 두껍게 덮여 있어 벽화의 잔존 여부는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었다. 적외선촬영 전애 벽화 보존처리 담당자가 먼저 표변의 진흙을 조심스럽게 제거한 다음 석재 하부의 강회 부분을 조사하였다. 적 외선 촬영결과 육안관찰로 보이지 않는 담벽의 장식선 흔적을 관찰히였다 이는 각 벽 화의 하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담벽의 테두리를 북동측 단벽에서 확인하게 되었다 이 를 통해 북동측벽화가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북동측에도 벽화를 그렸다는 것을 확인할 즈二 。1 o-l rl • l λλλA 'î 3.1.5. 천 정 벽 화(사진 23, 24) 천정의 표변은 누수의 흔적으로 표변에 작은 크랙이 발생되어진 상태이며, 육안관찰 로 남측 단벽의 입구에서 검은 색의 그림 흔적이 관찰되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한 적외 선촬영결과 인위적으로 그림을 그렸던 굵은 묵선의 흔적이 관찰되어지나, 그려진 세부 벽화의 대상은 잔존하는 부분이 적어 확인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석실의 천정에도 벽 화를 그렸다는 것을 확인하게 해주었다 3.2. 단면관찰 결과 3.2.1. 벽화 강회(사진 25, 26) 벽화강회의 현미경 관찰은 북서측벽화 상부의 흑색 당초문양이 묘사되었던 파편을 관찰하였다. 흑색 문양의 표면에 대한 현미경 관찰결과는 흑색의 작은 알갱이들이 문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