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5page

신의 작전개념이나 주장은 설득력을 얻기가 어려웠다. 또한 자신은 ‘청야’의 근본목적이 “적이 이용할 수 있는 인력과 물자를 전 부 안전권 내로 들여오는 것”이기 때문에 굳이 집을 소각할 필요까지는 없 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11사단 작전에서 가옥을 소각시키는 행태는 수없이 되풀이되었다. 그리고 ‘청야’의 목적은 적 유인책, “작은 예비부대가 기동력 을 발휘해 적을 포착 섬멸한다”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대다수 산간주민들을 집과 가재도구 소각 등 극단적이고 강압적인 방법으로 소개시키거나 소개에 불응하는 경우 현장에서 살해하는 결과가 비일비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빨 치산이 아닌 일반주민이 토벌작전의 대상이 되는 일이 허다했다. 국민당 정부군에서 복무한 경험이 있는 최덕신은 11사단이 창설되어 초기 에 주로 호남지역의 수복작전에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자 견벽청야작전 개념을 적극 도입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앞서 언급한 김필상은 ‘견벽청야’는 명시화된 작전 계획 혹은 작전 명령이라기보다는 작전 철학(필로소피)이라고 봐야 한다면서 토벌 초기부터 견벽청야작전을 쓰지는 않았다고 진술하였 다,340) 즉 초기에는 일반적인 수복작전을 폈는데, 사단에서는 연대로, 연대에 서는 대대로 담당 구역을 할당하여 자기 관할구역에 대한 치안확보를 위해 공비토벌작전을 전개하였으며, 이때의 명령은 ‘주둔지역 또는 관할지역의 공 비를 소탕하라’는 단순한 것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수복 작전이 별 성과 없이 진행되자 최덕신은 자신이 평소에 갖고 있던 견벽청야 작전 개념을 적극 원용하기 시작하였는데, 김필상은 당시 자신을 비롯한 지 휘관들에게는 생소한 개념이었다고 술회하고 있다. 즉 최덕신의 견벽청야 작전은 중간지휘관들에게도 생소한 것이었기 때문 에 초기에는 그 취지가 예하부대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일반 사병 출신 들은 이러한 작전 개념의 존재여부 자체를 모르고 있었다. 최덕신은 1951년 초 ‘거창사건’ 등이 논란을 일으키자 그 책임을 부하 혹 은 사병들 탓으로 돌렸으며 자신에 대한 이후의 공격을 정치적 모략중상이 라고 보았다. 거창사건에 대한 최덕신의 주장을 살펴보면 이러한 시각이 분 명히 드러난다. 340) 김필상 전화면담(2008.2.12.) - 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