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page

수록되어 있어 11사단 토벌작전의 지휘계통과 작전계획, 작전경과, 대민인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2) 자료조사 자료조사의 경우 당시 민간인 집단희생사건을 정확히 기록하고 있는 공문 서는 찾을 수 없었다. 국방부는 일관되게 “민간인 희생이 있었다는 군 관련 기록을 찾을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13) 전사(戰史)에는 민간인 희생과 관련한 내용이 기록되지 않았고, 많은 경우 사건 관련 전투상보, 작전일지 등이 작성되지 않았으며, 설사 존재한다 하더라도 사실과는 다른 것으로 확 인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전사편찬위원회의 『한국전쟁 참전자 증언록』은 107R 년 계획의 한국전쟁사 집필을 위해 생존해 있던 참전자들을 주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외에도 경무 대 비서관, 미군고문관, 중공군 및 투항한 인민군 등 여러 부류의 인물들이 망라되어 있다. 진술 시기는 주로 1960년대 중반에 이루어졌으나, 1980년대 에 이르기까지 몇 차례 추가 면담이 이루어졌다Ii한국전쟁 참전자 증언록』 은 당시 군 최고지휘관으로부터 일반 사병, 기타 인물에 이르기까지 4900여 건이 정리되어 있다. 관련 자료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口 국회 및 지방의회 자료 4대국회 양민학살사건 진상조사 특별위원회 『양민학살사건진상조사보고 서.1, 1960. 6. 21. 전라북도의회 6 .25양민학살실태조사특별위원회, 『6 · 25양민학살진상실태 조사보고서.1, 1994. 함평군의회, 『함평양민학살 피해 진상조사 실태보고서.1, 1998. 화순군의회, 『화순양민학살 실태 진상조사 결과보고서.1, 1차(1999), 2차 13) 국방부는 진실화해위원회가 진실규명 결정한 사건에 대한 이의제기 공문을 통해 “11사 단이 한국전쟁 기간에 호남지역에서 빨치산 토별작전을 실시하였으나 작전관련 기록이 없고 민간인 처형 사항은 확인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피력하였다. 국방부, ‘진실화해위 원회 권고사항에 대한 이의신청’(국방부 기획총괄담당관-1566)(2009.4.15) - 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