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4page

2) 那자료 o r함평군샘 (함평군 1999), !f:해님군쇄 (해남군 1옛쩍 o 11'萱島컵魔] (완도군~ 1977), 曉島컴밟J (완도군지편찬위원회1, 1992), W뿔島컴願 50 年史J (완도군~ l'했) - 한국전쟁 발발 후 인민군의 침입과 인민군 점령시기 각 군의 피해상황어 기술되어 있 고 『해남군λb 에는 국민보도연맹 사건에 대하여 /경찰 철수 이전 7 월 20일 께 보도연맹원 일제 소집령 내려졌꾀 1946년 추수봉기 가담자들이 대다수인 이들 해남지역 보도연맹원은 당 시 %여명이었는데/ 수감된 보도연맹원의 전원사살이라는 초기방침을 문종식6)의 만류로 1차 로 석방하였다가 경찰 후퇴가 결정된 24일 재소집 하여 %여 명의 보도연맹원이 사살되었다, 라고기술되어 었다. 퍼 『함평군 한국전쟁기간 민간인 희생자 피해연구 보고서J (함평군~2C뼈 - 함평군이 (새한국현대사회연구쇠전남대)에 의뢰하여 한국전쟁 전후 함평군(월야 · 해 보 · 니산면 제외)의 민간언 피해현황을 조사한 결과이다. 조사결과 859명의 피해자 중 국민보 도연맹 사건 희생자 91명(함평읍 2명/ 대통면 30명/ 손불면 37명/ 엄다면 3명/ 학교면 19명)의 성명/ 성발 직업/ 연령/ 사밍멜 가해자 사망장소 거주지 등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전 쟁 발발 직후 함평군 보도연맹원 500명 ~700명 정도가 함평경찰서에 구금되어 희생되었다,라 고기술하고있다. 4) r이데올로기에 갇힌 해남의 근현대사J (해남신문샤 2αR - 일제강점기 때부터 한국전쟁 전후 시기 까지 해남군의 현대사를 서술하고 있다. 국민 보도연맹 사건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고 있는데, 1946년 추수봉기 가담자들이 대부분 해남군 보도연맹에 가입되었다고 하고 갈매기섬에서 희생 된 보도연맹원 수에 관한 여러 설y 시신수 습과정/ 희생자들의 특정y 갈매기섬이 알려진 계기 및 상황/ 언론 보도내용 등을 담고 있다. 6) 문종식은 일제강점기 때 경찰을 지냈고 해방 후에는 민의원에 출마하였다. 그는 /보복이 보복을 부른다고 설득하여 보 도연맹원의 희생을 믹있다. 이 공로로 인공치하 해남군 인민위원회 부위원징l이 되었으나 인민군 퇴각 시 인민군에게 희생되었다:(해남군 『해님군λh , 1995, 555--556쪽) - 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