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page


123page

오산역
123page

주민에게 물으니 주차장 재건축으로 인해 철거되었다고 한다. 사진 출처 : 유튜브 동영상 '경기 오산시 오산3.1운동 발상지'
123page


123page

오산 3.1운동의 발상지 1919년 3월 1일, 일제강점기, 일제의 야만적인고 파괴적인 민족말살정책, 수탈정책과 헌병경찰제도에 맞서 한민족은 분연히 일어났다. 조국을 되찾기 위해 서울 파고다공원에서 일어난 민족대표 33인의 조선독립선언으로 시작된 3.1독립만세운동 현장을 목격한 오산의 세교동 출신 유진흥은 감격하여 오산에서도 이와같이 실행할 것을 결심하게된다. 유진흥은 1919년 고종황제의 국장에 참여하고자 상경해 있던 중이었다. 곧 오산으로 내려와 이성구, 김경도, 이규선, 정규환, 김용준, 안낙순, 공칠보등의 동지를 규합하기 시작한다. 어느정도 규합되자 의거할 것을 모의하고 각자가 비밀리에 각 동리로 연락을 취할 것을 정하고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제작 준비하였다. 오산지역의 3.1운동은 1919년 3월 14읽 오산장(우시장)에서 시작되어 3월말까지 진행되었는데, 일경들의 감시가 심하여 결정치 못하고 차일피일 미루다가 3월 29일(당시 음력 2월 28일. 당시는 음력으로 3,8일에 오산장이 열였음) 오산장날에 거사 일을 정하고 동지들에게 각 동리에 연락을 취하게 하였다. 3월 25일 오산리의 만세운동이 젊은 학생들과 천도교도들을 중심으로 일어나기 시작해 금융조합과 일본인, 중국인 가옥을 파괴하며 전개되었다. 이후 이산리에서 3월 29일 오후 5시경 장날을 이용해 만세운동이 대규모로 벌어졌다. 시작에 모여있던 300여명의 군중들은 유진흥과 안낙순등이 태극기를 휘두르며 선두에 서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당시 현장에 있던 오산주재소의 순사 오오키(大木)가 유진흥 등 3명의 주동자를 체포하자 안낙순을 위시한 시위 군중들은 석방을 요구하며 기세를 높이자, 이에 기가 꺽인 오오키는 체포한 사람을 석방하였다. 석방에도 불구하고 독립만세를 외치는 사람의 수는 더욱 늘어 이성구, 이규선, 김경도, 정규환, 김용준, 유진흥등이 다시 500여명의 군중과 함께 면사무소에 몰려가 투석전을 하였다. 이후 오산우펴노를 파괴하고, 일본인 거주지로 몰려가 파괴하며 기세를 올렸다. 이에 군중은 더욱 늘어 7~800명에 이르고, 오산역을 파괴한다며 이동하자 일본 경찰과 보병이 합세하여 발포하자 무기에 대항할 수 없자 해산하게 되었다. 오산지역의 3.1운동은 식민지배기구였던 면사무소, 경찰주재소 앞에서의 실력행사를 보여준 것으로서 당연한 우리의 주권을 공표한 것이다. 오산지역에서 야금야금 거주지를 확장하는 일본인들의 지배력을 부인한다는 실력행사였다. 오산3.1운동 주모자로 몰려 체포된 독립운동가들은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한 농민들이며 성호면(오산)에 살던 주민들이었다. 이들의 만세운동에 대해 일제는 징역6월에서 1년8월까지 형을 선고했다. 이성구(수원군 일행면, 25세, 징역1년8월), 김경도(성호면 오산리, 34세, 징역1년6월), 공칠보(성호면 권리, 36세, 태90), 유진흥(성호면 세교리, 38세,징역6월에 집행유예2년), 안낙순(성호면 세교리, 44세, 징역6월), 김용준(성호면 금암리, 38세, 징역6월), 우리는 이8분의 의사를 8의사라 부른다. 오산3.1독립만세운동은 처음에는 학생과 천주교도들의 시작으로 시작되었고 이후에는 오산장에서 좀 더 조직적으로 농민과 상인들이 중심이 되어 오산주민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빛나는 독립운동이었다. 이 오산장 시위는 방안장 시위와 함께 경기도 지역 전체로 만세 시위를 전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 오산의 만세운동이 벌어진 뒤 곧바로 다음날에는 권율의 새마대첩으로 유명한 곳인 독산성에서 만세운동이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