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page

학교도서관 운영인력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 81 업무에 대해서만 채택되었다. 2) 기능영역 업무의 적임자에 대한 인식 차이 ① 기능영역 업무 전체에 대한 기술 통계분석 학교도서관 기능영역의 각 세부업무별로 응답자의 인식차이를 확인하기 전에, 기능영역 전체에 있어 응답자의 담당업무별로 적절한 담당자가 누구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는 <표 9>와 같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담당업무와 무관하게 학교도서관 기능영역 전반에 있어 ‘사서교사/ 사서’의 역할을 상당히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앞서의 관리영역 업무에서는 ‘담당 교사’의 역할도 상당히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능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을 낮게 인식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기능영역 업무별 담당자의 적절성 인식에 대한 교차분석 가설 2-a: 기능영역 업무별 담당자의 적절성에 대한 담당교사, 사서교사/사서, 자원봉사학부모, 학생도서위 원의 인식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b: 기능영역 업무별 담당자의 적절성에 대한 사서교사/사서와 자원봉사학부모의 인식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기능영역 업무에 있어 적절한 담당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견해 차이를 응답자의 담당 업무별로 살펴본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업무만 설명을 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응답자의 담당업무에 따라 약간의 편차는 있지만 전반적인 영역에서 학교 도서관의 기능영역 업무를 담당할 최적의 적임자를 ‘사서교사/사서’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교과 단원에 맞는 매체의 선택과 평가하기’ 업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담당교사가 적임자인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 집단 간 차이 분석에서는 ‘자료 등록하기’, ‘자료 분류와 목록 작성하기’, ‘신문잡지기사 색인 작성하기’, ‘자료수리 및 제본하기’, ‘장서점검과 재적하기’, ‘도서 관리의 전산하기’, ‘시청각 자료의 관리업무 및 조작하기 ’ , ‘학교도서관의 홈페이지 등록 및 관리하기’, ‘훼손된 도서 수선 보수하기’, ‘교 과단원에 맞는 매체의 선택과 평가하기’, ‘도서관 자료의 소개 및 안내하기’와 같은 11개 업무에서 집단 간 인식 차이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설 2-a는 14개 업무 중 과반수 가 넘는 11개 업무에서 채택되었다. 두 집단 간 차이 분석에서는 14개 기능영역 업무 중에서 “특수자료 제작하기” 1개 영역에서만